• 검색

[인사이드 스토리]롯데-신세계의 닮은꼴 생존기

  • 2018.12.28(금) 11:40

롯데 '패션'-신세계 '주류'…취약부문 인사 주고받아
이커머스 투자와 편의점 사업 확대 등 곳곳서 경쟁


요즘 국내 유통업계에선 닮은꼴 행보가 유난히 자주 눈에 띄는 두 기업이 있습니다. 유통 공룡으로 불리는 롯데와 신세계 그룹인데요. 업계 1·2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그룹이니 당연한 게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단순히 두 그룹이 대표 기업이어서 함께 거론되는 것은 아닙니다.

롯데와 신세계는 그동안 국내 유통업계를 주름잡아왔던 백화점과 대형마트 시장을 장악하면서 '황금기'를 누렸습니다.

그러나 최근 오프라인 매장은 뒷걸음질하고, 이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살아남기 위해선 변해야만 하는 처지에 놓였죠. 두 그룹 모두 부족했던 영역을 보완하거나 신사업에 진출하는 등 다양한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같은 시기에 미래 생존 전략들을 추진하다 보니 공교롭게도 유사한 궤도를 밟고 있는 겁니다. 
 
최근 두 그룹은 새해를 앞두고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는데요. 인사에서도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양사 모두 그동안 취약했던 영역에 상대 회사의 인재를 데려와 수장으로 앉혔다는 점입니다.
 
먼저 신세계는 지난달 말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롯데주류에서 마케팅 부문장으로 일했던 우창균 상무를 영입해 신세계 L&B 및 제주소주 대표이사로 선임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신세계의 계열사 대표 인사 가운데 외부에서 영입한 사례는 우 대표가 유일합니다.
 
우 대표는 30년 넘게 주류회사에 몸담아온 전문가로 평가받습니다. 신세계는 경우 지난 2008년 신세계L&B를 설립하면서 주류사업에 진출했는데요. 이제 사업을 시작한 지 10년을 넘어서는 시점인만큼 성장의 돌파구를 마련해보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 우창균(왼쪽) 신세계L&B 및 제주소주 대표이사와 정준호 롯데GFR 대표이사.

롯데의 경우 패션 부문을 보완했습니다. 롯데그룹은 올해 6월 롯데쇼핑 자회사인 엔씨에프(NCF)와 롯데백화점의 패션 사업 부문인 GF(글로벌 패션)를 통합해 패션 전문회사인 '롯데지에프알(GFR)'을 신설했는데요. 흩어져 있던 패션 부문을 통합해 본격적인 사업 육성에 나선 겁니다. 

롯데는 이 회사의 대표로 신세계인터내셔날 출신 정준호 부사장을 영입했습니다. 정 부사장 역시 롯데의 계열사 신임 대표 중 유일한 외부 인사입니다. 롯데는 GFR 설립 당시 자체 브랜드 개발과 해외 유명 브랜드 도입 등을 통해 2022년까지 매출 1조원 달성을 내걸었는데요. 정 부사장을 통해 승부수를 띄우려는 의지가 읽힙니다.

롯데와 신세계는 최근 비슷한 형태의 대형마트 점포를 같은 날 선보이면서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이마트는 경기 의왕시에 '의왕점'을 개점했고, 롯데마트는 서울 금천구에 '금천점'을 열었는데요. 두 점포 모두 IT 기술을 곳곳에 적용한 스마트 점포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두 기업 모두 이 점포를 '대형마트의 미래'로 보고 있다는 점도 비슷한데요. 갈수록 뒷걸음질만 하고 있는 대형마트를 되살리려는 겁니다.
▲ 이마트 의왕점(왼쪽)과 롯데마트 금천점. (사진=각 사)

조 단위 투자로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닮은꼴입니다. 롯데는 오는 2023년까지 온라인 유통사업에 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고요. 신세계 역시 해외 투자사로부터 1조원을 유치했습니다.

두 그룹 모두 그동안 온라인 사업을 안 했던 건 아닙니다. 다만 계열사별로 온라인몰이 제각각이거나 오프라인 점포를 보조하는 수준에 그쳤는데요. 국내 쇼핑시장의 무게중심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이제 G마켓이나 11번가, 쿠팡과 같은 '이커머스' 사업을 본격화하겠다는 겁니다.

두 기업 모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데 특히 관심이 많은데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고객을 자사 이커머스 채널로 유인하거나 온라인 소비자를 오프라인 채널로 끌어들이는 식으로 시너지를 내겠다는 겁니다.

최근 미니스톱 인수를 두고 롯데와 신세계가 '격돌'하고 있는 이유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점포 중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접근성이 좋은 편의점을 이른바 '옴니채널' 거점으로 삼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옴니채널이란 '모든 것, 모든 방식'을 의미하는 옴니(omni)와 유통경로를 의미하는 채널(channel)을 합성한 단어로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마케팅 체계를 의미하는데요. 특히 롯데가 옴니채널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번 미니스톱 인수전에서 롯데가 가장 많은 금액을 베팅한 이유가 있는 겁니다.

물론 다른 점도 적지 않습니다. 신세계는 시코르나 삐에로쑈핑, 일렉트로마트 등의 전문점을 내세워 특정 소비층을 겨냥하고 있는 반면 롯데의 경우는 더 넓은 소비층을 포섭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두 기업 모두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위기감'을 절실하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첫발을 뗐습니다. 이젠 각 영역의 성패에 따라 비슷해 보였던 두 기업의 궤도가 확연하게 달라질 가능성이 큰데요. 두 기업의 같은 듯 다른 '생존기'를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