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카드사들이 희망퇴직을 실시하거나 소비자에 대한 혜택을 대폭 축소하는 등 비용절감에 한창이다.
◇ KB국민카드, 2년 연속 희망퇴직…현대·우리 등도 감원카드 '만지작'
최근 KB국민카드는 1976년생 이상 전 직급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KB국민카드는 2011년 KB국민은행에서 분사한 뒤 7년만인 지난해초 처음으로 과장급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23명이 희망퇴직을 통해 퇴사했다.
올해 KB국민카드 희망퇴직은 지난해와 달리 직급제한을 없애 퇴직자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됐지만, KB국민카드는 희망퇴직 접수 결과 지난해보다 퇴직자 규모가 적을 것이라고 전했다.
희망퇴직은 강제성도 없고 일반적인 퇴사보다 보상금 규모도 크다. 이 때문에 회사 측은 이번 희망퇴직이 구조조정 차원에서 실시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카드업계에서는 KB국민카드 희망퇴직이 업계에 불어오고 있는 구조조정의 시발점이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처럼 KB국민카드가 직원수나 급여에서 업계 평균치인 점을 감안하면 KB국민카드 희망퇴직이 다른 카드사 인력감축을 결정하는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평가다.
앞서 현대카드는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임직원 400명을 감축해야 한다는 컨설팅 결과를 받았다. 아직 직접적인 감원 움직임은 없지만 인력채용을 줄이는 등 컨설팅 결과를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신한카드는 임직원 수와 연간급여, 1인당 급여 모두 업계 1위인 곳이다. 올해는 임영진 사장이 희망퇴직을 실시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신한카드는 2년마다 꼬박꼬박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곳이다. 지난해 희망퇴직을 통해 200명의 인력을 감축했다. 올해 희망퇴직이 없더라도 내년에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희망퇴직을 논의한 바 있지만 백지화됐다. 하지만 올해 경영환경이 지난해보다 어렵다보니 재차 희망퇴직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 '무이자할부 축소·인기카드 단종' 등 부가서비스 축소
비용절감은 카드사 내부에만 그치지 않는다. 최근 카드업계는 소비자에게 제공하던 부가서비스 축소에 나서고 있다.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축소는 카드사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서비스 축소를 위해 약관을 바꾸려면 금융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금융당국은 이달말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카드사 부가서비스 축소 방안 등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에 따라 비용절감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서비스 축소 방안이 나온 뒤 카드사들은 본격적으로 부가서비스 축소에 나설 방침이다. 신한카드는 태스크포스 방안이 나오면 부가서비스 제공이 많던 '적자카드'의 단종을 추진하기로 했다.
KB국민카드는 '가온카드'와 '누리카드' 등 인기가 많던 카드 일부를 단종시켰으며, 삼성카드도 '더오카드' 등의 신규발급을 중단했다.
현대카드는 포인트 결제사 제공하던 할인혜택을 축소했으며, 우리카드와 비씨카드 등은 지방세 카드납부 수수료 면제 혜택을 없앴다. 롯데카드 등 대부분의 카드사는 일부 업종과 가맹점에 제공하던 무이자할부 서비스를 축소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내부의 비용절감과 외부 서비스 축소 등으로 신규카드 출시가 미뤄지는 중"이라며 "벌써 무이자할부 혜택 축소를 두고 고객 반발이 크다는 관련 부서의 하소연이 들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