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철강 석유화학 건설 등 중후장대 제조업이 휘청거리고 있는 가운데 4년 뒤에는 한국의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이 인도에 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격경쟁력과 노동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는 게 약점으로 지적됐다.
정부가 제조업 업그레이드를 위해 ‘제조업 혁신 3.0’을 통해 제조업과 ICT산업 간 융합을 추진하고 있지만 속도가 더딘 데다 중후장대 제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성장판이 닫히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딜로이트글로벌과 미국경쟁력위원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20년 제조업 경쟁력 지수는 세계 6위로 2015년(5위)보다 한 단계 하락한다. 현재 11위인 인도는 5위로 2020년에 한국보다 제조업 경쟁력이 앞설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는 세계 각국 제조업에 종사하는 최고경영자(CEO)와 고위 임원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진다. 3년마다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데 각국 제조업의 경쟁력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기업들이 정책과 투자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은 현재 2위에서 2020년에는 1위로 도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재 1위인 중국은 2위로 밀리고 독일과 일본은 각각 3, 4위로 지금과 같은 순위를 유지한다.
10위권 이하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17위에서 13위로, 베트남은 18위에서 12위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개별 국가의 제조업 경쟁력 평가요소로 ‘우수한 인재 확보’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가격경쟁력(2위), 노동생산성(3위) 순이었다. 이들은 한국을 비롯해 유럽 국가들이 가격경쟁력과 노동생산성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