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규모 ICT 전시회인 '월드IT쇼'가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월드IT쇼는 ICT 연구개발 성과 민간 이전을 통해 사업화를 추진하는 '2025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과 ICT 고급인재 양성사업 연구성과를 전시하는 '대학정보통신연구센터(ITRC) 인재양성대전 2025'와 동시에 진행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명실공히 ICT 분야 산·학·연을 모두 망라한 성과를 관람객이 보고 듣고 체험할 수 있는 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AI로 디지털 대전환, 과학기술로 미래 선도'를 슬로건으로 다양한 전시물을 선보인다. AI가 그릴 미래상을 각 분야 산업 일선에서 활약중인 기업인들이 강연하는 컨퍼런스도 마련했다.

전시에 참가한 삼성전자는 갤럭시 S 시리즈 디자인의 곡선을 반영한 라운드 형태로 870㎡(263평) 규모의 전시공간을 조성하고, '갤럭시 S25 시리즈'를 중심으로 다양한 '갤럭시 AI'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관람객들은 체험존에서 '갤럭시 AI' 기능을 안내 받은 후,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기능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다.

LG전자는 '공간·미래·연결하다'를 슬로건으로, 제품과 기술을 통해 모든 삶이 연결되는 미래를 표현했다. 전시관 중앙의 광장 'LG AI 스퀘어(Square)'를 중심으로 LG AI홈·LG 이동형 AI홈 허브·LG 스탠바이미2 갤러리·LG 이머시브(Immersive·몰입형) 시네마·LG webOS 시어터(Theater) 등 집과 엔터테인먼트를 테마로 한 다양한 공간으로 전시장을 구성했다.
거실과 부엌·세탁실 등 집을 연출한 'LG AI홈'에서는 날씨에 맞는 옷을 추천하고, 씻을 때 적절한 수온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등 AI홈으로 더 편리해진 3인 가족의 일상을 미니어처 모형 집과 투명 올레드로 만들어진 디오라마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KT는 인공지능(AI) 마스터 브랜드 'K intelligence'를 주제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적 AI 기술을 선보인다.
KT의 전시부스는 전통 한옥의 미학이 담긴 '한옥 마당' 콘셉트로 구성했다. 한옥 기와 지붕을 형상화한 입구와 대형 전광판의 AI 유채꽃 풍경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한옥 마당은 △K intelligence △어울림 마당 △기업 마당 △연구 마당 △배움 마당 △상생 마당 △놀이 마당 △즐거움 마당 8가지 존으로 구성된다.

SKT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테마로 꾸민 864㎡ 규모 전시관에 AI 데이터센터 설루션을 비롯해 일상 곳곳에 스며든 혁신적인 AI 기술과 서비스를 담아냈다.
관람객들은 AI DC, AI 팩토리, AI 오피스, AI 홈, AI 병원, AI 마켓 등 전시관 내 각각의 존에서 SKT AI 기술과 서비스가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만나볼 수 있다. 또 올해 MWC 25에서 발표한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AI 골드러시' 소재로 표현한 이벤트 공간을 별도로 운영해 관람객의 흥미와 눈길을 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