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라며 개인정보를 입력하라거나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라고 요구하는 문자를 받으면 즉시 삭제해야 한다. 최근 금융감독원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1/08/13/7a457d1de768a50d75931b97b48d3c9c.jpg)
13일 금감원은 전날 오후부터 금감원을 사칭한 개인정보 탈취 보이스피싱 사기 문자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실제로 지난 12일 금감원 불법사금융피해 신고센터에 약 3시간 동안 접수된 보이스피싱 신고만 총 71건에 달한다. 1시간에 20건이 넘는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해당 문자에는 금감원에 계좌가 신고됐다면서 URL 주소를 누르라고 유도한다. 이 링크로 접속하면 휴대전화 번호와 이름,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허위의 금감원 통지서를 내려받게 하도록 해 피해자 몰래 악성 앱을 설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입력 화면에는 금감원 또는 정부24 홈페이지 등을 연계해 피해자를 안심시켰다. 악성 앱은 휴대전화 원격 조정 앱 또는 전화 가로채기 앱이지만 외관상으로는 금감원 모바일 앱으로 가장했다.
설치된 악성앱을 클릭하면 신분증 사진, 계좌 및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해 보이스피싱에 필요한 모든 개인정보를 탈취했다. 이후 사기범들을 이 정보를 이용해 피해자 명의로 휴대폰 개통, 비대면 계좌개설 및 대출신청 등을 통해 자금을 편취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감원 등 정부기관이나 금융회사 등을 사칭한 사기 문자가 무차별적으로 확산하고 있으니 사기 문자에 속아서 피해를 보지 않게 각별히 주의해달라"라고 전했다.
또한 "금감원은 개인정보 입력이나 앱 설치를 요구하는 문자를 발송하지 않는다"면서 "이런 문자를 받으면 절대로 URL 주소를 누르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고 불법 스팸문자에 대해선 휴대전화를 통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해달라"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