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신업계가 '오픈랜'(개방형 무선 접속망·O-RAN)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양한 제조사의 기지국 장비를 서로 연동하는 기술인 오픈랜을 이용하면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망을 구축해 더욱 안정적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통신사들은 글로벌 통신사와 함께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인 'O-RAN 얼라이언스'에 참여하고, 장비 제조사와 협력해 장비 연동 시험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SKT, 노키아와 오픈랜 협력해 실증까지
SK텔레콤은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노키아와 클라우드 기반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망에 설치해 5G(5세대 이동통신) 성능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 초 '5G 64 TRx'(내장안테나) 장비와 연동된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한 바 있다. SKT에 따르면 상용망에 설치해 실증까지 진행한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다.
SKT와 노키아는 '지능형 기지국 제어장치'(RIC)도 개발해 검증을 마쳤다.
이는 기지국별로 동시 접속자 수를 수집해 환경에 따라 인근 기지국으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다. 대형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 트래픽이 급증하는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오픈랜은 AI(인공지능) 시대에 지능화된 네트워크로 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5G 고도화 과정과 6G 서비스를 위해서도 필요한 핵심 기술"이라고 말했다.
KT·LG유플러스도 글로벌 기업과 협력…'기술 개발'
오픈랜은 다양한 제조사의 기지국 장비를 서로 연동하는 기술이다. 현재까지는 설비마다 규격이 다르다보니 같은 제조사의 장비만 사용해야 했다. 통신사는 오픈랜을 상용화하면 특정 제조사에 얽매이지 않고 효율적으로 망을 구축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을 보면, 미국은 민·관 모두 오픈랜 구축에 적극적이다.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은 연내 오픈랜 장비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고, 중국 화웨이를 견제하려는 미국 정부는 한국과 일본 등 우방국 상대로 오픈랜 도입을 권유해왔다.
국내의 경우 SKT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사도 글로벌 기업들과 손잡고 오픈랜 기술 개발에 힘써왔다.
LG유플러스는 최근 노키아의 O-DU(분산장치)와 삼지전자의 O-RU(안테나) 장비를 연동하는데 성공했다. O-DU와 O-RU는 오픈랜 국제 표준 규격에 기반한 기지국 장비다.
양사는 지난해 7월 5G 어드밴스드(5G의 진화 단계)와 6G 분야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오픈랜 관련 협력을 강화해왔다. LG유플러스는 노키아·삼지전자와 협력해 국내 통신환경에 적합한 오픈랜 장비를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KT 또한 일본 통신사 NTT도코모, 정보통신기술 장비·서비스 기업 후지쯔와 협력해 5G 기지국 장비 연동 시험에 성공한 바 있다. 아울러 오픈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자체 개발한 5G 기지국 장비와 후지쯔 장비를 연동하기도 했다.
지난해 8월에는 KT가 제안한 오픈랜 연동규격이 O-RAN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국제 표준 승인을 받았다. KT가 제안한 규격에는 국내 5G 무선망 환경에서 사용중인 설정값과 구성 방식이 반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