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5/02/03/14c9f395a794a184b3e364b106750e43.jpg)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선보인 인공지능(AI) 챗봇이 전세계에서 '챗GPT'만큼의 화제를 불러일으키자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은 개인정보보호 차원에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로 알려진 중국 항저우 오피스와 베이징 사무소에 공문을 보내 사실 관계 확인에 나섰다.
최근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 'R1' 개발 비용이 600만달러라고 주장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미국 오픈AI의 모델 'GPT-4'의 1억달러 대비 6%에 불과하다는 점에서다. 딥시크가 미국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할 정도로 화제를 모으자 정보 유출·보안 위협을 우려하는 움직임도 빠르게 확산했다.
특히 미국은 텍사스 주정부와 항공우주국(NASA), 해군 등이 보안 위협을 이유로 서비스 이용 중단 조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미국은 연방정부 차원의 딥시크 금지 조치에 대한 공식적 언급을 내놓진 않았다. 당장은 자국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최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딥시크에 대해 '미국 AI 산업에 경종을 울린(wake-up call) 일'이라고 언급했다"며 "대통령은 최근에 AI 산업 규제를 철회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이에 따라 앞으로 미국이 AI 산업에서 우위를 회복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뿐 아니라 호주, 영국, 유럽 각국을 비롯해 일본과 대만에서도 딥시크와 관련한 보안 문제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만 디지털부의 경우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면서 "정보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아일랜드 등 유럽 여러 나라에서도 딥시크의 개인정보보안 구조를 살피고 있다.
딥시크에 따르면 이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사용자명, 생년월일,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이다. 프롬프트(질의내용), 파일과 같은 사용자가 딥시크에 입력한 정보도 마찬가지다. 이는 필수 서비스 목적으로 수집되며, 광고주와 같은 비즈니스 파트너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법 집행기관, 공공기관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도 공유 가능하다.
개인정보는 암호화 및 보안 처리돼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며 국외 전송시 관련 법규를 준수한다고 회사 측은 밝히고 있으나, 각국 정부의 반응을 보면 안정성을 신뢰받지 못하는 상황인 셈이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 등에 이와 관련한 공문을 발송했으나, 공식 답변을 받기까진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개인정보보호 규제당국의 공식 질의인 까닭에 딥시크도 신중한 답변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답변 수령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