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서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 기류가 확산하고 있다. 금융권은 특히나 보안이 중요해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모양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이어 하나은행은 4일부터, 우리은행은 이날 오전부터 딥시크 접속을 원천 차단했다.
은행은 망 분리 규제에 따라 은행 주요 전산시스템이 돌아가는 내부망에서는 챗GPT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수 없었다. AI를 이용하려면 외부망을 통해야 했는데, 이제는 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막은 것이다.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내·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접속이 불가하다.
딥시크는 최근 '개인정보 먹는 하마'로 불리고 있다. 양도 양이지만 수집하는 개인정보 범위가 매우 넓어 논란이 일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이 가장 중요한 은행에서는 앞으로도 딥시크 이용이 제한될 전망이다.
이밖에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케이뱅크, 카카오뱅크도 딥시크 사용을 제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