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철강업에 볕 든다"..가격인상 움직임에 '화색'

  • 2016.03.18(금) 10:23

중국 정부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생산량·재고 감소
중국 업체 줄줄이 가격 인상..국내 업체들도 동참

수년간 업황 부진의 늪에 빠져있었던 철강업계에 오랜만에 희소식이 전해졌다. 최근 중국 시장에서 제품 가격 인상 움직임이 보이면서 국내 철강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 그동안 글로벌 철강 업황은 중국의 공급 과잉으로 수익성이 악화돼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올들어 중국 정부가 강력한 구조조정 의지를 밝히면서 현지 생산량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최근 중국의 철강제품 가격이 올라갔고 국내 업체들도 잇따라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제품가격 인상은 곧 수익성 확보를 의미한다. 국내 철강업체들이 중국발(發) 가격 인상을 반기는 이유다.

◇ 중국발(發) 가격 인상 훈풍

그동안 글로벌 철강업황이 부진했던 가장 큰 이유는 중국 때문이었다. 철강업 호황 시절 중국의 중소 철강업체들이 난립하면서 무분별하게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당시는 중국이 고성장 중이어서 중소 업체들의 무분별한 생산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기 시작하면서 중국도 중(中)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철강 수요도 급격하게 줄었다. 수요가 줄자 재고가 쌓이기 시작했다. 공급은 많고 수요는 없는 공급 과잉 현상이 지속되면서 철강 업황은 급격하게 꺾였다. 중국에 쌓인 과잉 생산 물량은 저가로 한국과 동남아로 흘러들어갔다. 
우리나라와 동남아 철강 시장은 중국산 저가 물량 유입으로 몸살을 앓았다.

중국 업체들은 호황기에 늘려놨던 생산량을 갑작스럽게 줄일 수 없었다. 수익성 악화에도 불구 버티기 위해 계속 생산에 나섰다. 재고가 쌓이더라도 어쩔 수 없었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산 저가 물량의 유입으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됐다. 업황 부진 지속에 가격 경쟁력에서도 밀리며 제품 가격을 인상할 근거를 마련하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제품가격 인상이 없는 한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다고 봤다.


▲ 자료:키움증권.

그러나 계속된 업황 부진에 결국 중국 정부가 나섰다. 자국의 과잉 생산 탓에 글로벌 철강 업황이 침체기를 겪고 있다는 비난에 중국 정부도 부담을 느꼈다. 또 중국 철강 산업의 계속된 부진도 중국 정부가 직접 나서게 된 이유다. 그동안 중국 정부는 여러차례 철강산업 구조조정 의지를 피력했지만 늘 공염불에 그쳤다.

사실 올들어 중국 정부의 고강도 구조조정 방침 소식에도 글로벌 철강업계는 시큰둥했다. 말뿐인 구조조정일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리커창 총리가 직접 나서 구조조정을 천명했고 효과는 바로 나타났다. 지난 1~2월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전년대비 5.7% 감소했다.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재고가 소진되기 시작했고 이는 곧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바오산강철, 무한강철 등 중국 고로업체들은 지난 2월 열연과 냉연 출고가격을 각각 톤당 150위안(2만7000원), 200위안(3만6000원) 수준으로 인상했다. 바오산강철의 경우 오는 4월에도 열연과 냉연 출고가격을 각각 톤당 200위안 인상키로 한 상태다. 공급과잉으로 제품가격 인상은 꿈도 꾸지 못했던 철강업계에 가격 인상의 훈풍이 불고 있는 셈이다.

◇ 반갑다. 가격 인상

그동안 국내 철강 업체들은 냉가슴만 앓고 있었다. 중국의 저가 철강 제품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국내 철강 시장은 무너졌다. 국내 제품보다 훨씬 싼값에 들어오다보니 국내 업체들은 손쓸 방법이 없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작년 중국산 철강재 수입은 전년대비 2.4% 증가한 1374만3000톤이었다. 이는 작년 우리나라 철강재 수입량의 62.9%에 달한다.

업황 부진으로 심각한 수익성 악화를 거듭하던 국내 철강업체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제품가격 인상이었지만 중국 업체들이 저가로 국내 철강시장을 잠식하다보니 제품 가격을 올릴만한 여건이 형성되지 못했다. 수익성 악화가 불보듯 뻔했지만 중국산 저가 물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내리거나 동결하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강력한 구조조정으로 중국 업체들이 철강제품 가격을 인상하기 시작한 데다 그동안 하락일로였던 원재료 가격도 반등하기 시작했다. 국내 업체들에게는 실로 오랜만에 제품 가격을 올릴 수 있는 호기를 맞은 셈이다.
 
▲ 그동안 업황 부진과 원재료값 하락, 중국산 저가 물량 대거 유입 등으로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서지 못했던 국내 철강업체들은 최근 중국 철강업체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반갑기만 하다.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산 철강재 가격은 톤당 60달러에서 100달러 가량 올랐다. 중국산 철근 가격도 지난 2월 톤당 270달러였던 것이 이달에는 톤당 370달러까지 치솟았다. 국내에 수입되는 중국산 철강 제품 가격이 올랐다는 것은 국내 철강업체들에게는 호재다. 중국 업체들이 가지고 있던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업체들도 조심스럽게 가격인상에 나섰다. 다만 급격한 인상보다는 시장 추이를 살피며 월단위로 조금씩 올리는
추세다. 포스코는 지난 1월 열연 가격을 톤당 2만~3만원 인상했다. 지난 2월에도 비슷한 수준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냉연 가격도 현재 톤당 2만원 가량 인상된 상태다. 현대제철은 열연의 경우 톤당 2만원을 인상하고 오는 5월까지 추가로 톤당 3만원 가량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으로 중국 철강제품가격이 오르면서 국내 업체들도 제품가격을 올릴 수 있는 명분이 생겼다"며 "오랜 기간 제품가격을 인상하지 못해 속앓이만 했는데 이제라도 소폭이나마 가격을 올릴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 업황 회복 신호탄은 아니다
 
시장에서는 최근의 철강제품 가격 인상 움직임에 대해 다소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오래간만에 이뤄지는 제품 가격 인상은 분명 반가운 일이지만 추세적으로 가격 상승 움직임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현재의 상황은 그동안 지속됐던 '비정상이 정상화'되는 과정일 뿐 이번 가격 인상을 계기로 업황이 확연하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지난 2011년 수요 예측을 잘못해 줄줄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가 중국산 저가 제품들에게 시장을 빳앗겼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 상황을 면밀히 검토한 이후 그에 맞는 가격 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 시장에서는 국내 철강업체들의 잇단 가격 인상 움직임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중국 업체들의 가격 인상에 따른 가동률 증가로 훗날 재고 물량이 대거 국내로 유입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이 꾸준히고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면 가격 상승 움직임은 계속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현재 중국 철강업체들이 가격 인상과 더불어 꾸준히 가동률을 올리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의 가동률 증가는 재고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중국 업체들의 재고 증가는 국내 철강 시장에 중국산 저가 물량이 다시 대거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수요가 부족한 상황인 만큼 무리한 가격 인상은 자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시장에서는 철강 제품 가격 인상 러시가 오는 5월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에는 조정기를 거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김윤상 LIG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작년 말 가동률 하락으로 중국 내 재고 수준은 예년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인만큼 가격 상승 여지가 있지만 
재고 비축은 통상 1~2개월 후면 종료되는 데다 지금은 가동률이 본격 상승 국면이어서 좀 더 지켜봐야한다"고 밝혔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