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기아, '봉고 전기차' 공개…차 아닌 공간을 판다

  • 2025.04.03(목) 17:00

[2025서울모빌리티쇼]
기아, 'PV5' 국내 첫 공개
목적따라 내부 공간 변경

기아 '더 기아 PV5'./사진=도다솔 기자

기아의 다목적 승합차 '봉고'가 'PV5'라는 새 이름을 달고 돌아왔다. PV5는 전통적인 상용차에 '모빌리티 플랫폼'이라는 미래 전략을 더한 PBV(목적기반모빌리티) 모델이다. 기아는 'PV5'를 통해 단순한 전기차 판매 확대가 아닌 움직이는 공간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혁신 방향성 가장 잘 보여주는 차"

기아는 3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에서 PBV차량 '더 기아 PV5'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PBV는 목적에 따라 내부 공간을 다용도로 바꿀 수 있는 차량이다.

PV5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기아가 처음 선보이는 PBV 전용 플랫폼 'E-GMP.S'를 적용한 첫 모델이다. 

차체 구조를 목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는 모듈형 어퍼바디 시스템, 루프와 도어·테일게이트까지 모듈화된 플렉시블 바디 설계로 실용성을 극대화했다. 외관은 EV3, EV4 등 기아 EV시리즈 계보를 잇되, 상품성은 철저히 업(業)을 중심에 뒀다.

정원종 기아 부사장은 "PV5는 우리가 추구하는 모빌리티 혁신의 방향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차종"이라고 말했다.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2025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가 열리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핵심 목표 시장은 유럽이다. 기아가 PV5를 앞세워 유럽 시장을 정조준한 건 PBV의 개념 자체가 가장 먼저 통할 시장이 유럽이라는 판단에서다.

유럽은 도시 내 디젤차 진입을 막는 LEZ(Low Emission Zone) 규제가 확산되면서 전기 기반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차량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작지만 똑부러지는 차가 통하는 유럽의 자동차 문화도 우호적이다.

여기에 기업·지자체가 쓰는 B2B, B2G 맞춤형 차량 수요가 많다는 점도 강점이다. 루프·도어·어퍼바디까지 모듈화된 PV5는 배송, 케어, 휠체어 접근형 모델 등으로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단순 차량을 넘어서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공간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려는 기아의 'PBV 생태계 전략'이 유럽 시장과 맞물린 셈이다.

송호성 사장도 PV5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송 사장은 지난 2월 스페인 타라고나 아레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데이'에서 "PBV는 유럽에서 기아의 성장을 이끌 엄청난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PBV를 통해 전기차 상용차 시장에서 20%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PV5는 유럽 기준으로 3만5000유로(한화 약 5100만원)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국내 출시 가격은 미정이다.

기아·LG전자 맞손

'더 기아 PV5'./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이날 공개 현장에는 이향은 LG전자 HS사업본부 CX담당 상무가 깜짝 등장했다. 기아와 LG전자는 모빌리티쇼 현장에서 PBV 기반 공간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업의 상징물은 두 대의 콘셉트카다.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1인 사업자를 위한 이동식 오피스로, 인공지능(AI) 스타일러·스마트미러·커피머신 등 LG전자의 맞춤형 가전이 탑재됐다.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은 냉장고·와인셀러·광파오븐을 갖춘 차크닉(차+피크닉) 전용 모델이다.

기아는 이 콘셉트카를 내년 하반기 상용화할 예정이다. 향후 차량 내 가전을 원격 제어하는 통합 솔루션 개발도 추진 중이다. PV5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업무·여가·운송의 모든 순간을 담는 움직이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기아는 전시관 전체를 '혁신적인 모빌리티 라이프'라는 테마로 구성하고 EV4·EV9 GT·EV3 GT 라인 등 전기차 라인업도 함께 전시했다. 또 픽업트럭 '타스만'의 콘셉트 모델 '위켄더'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며 아웃도어 고객층 공략에도 나섰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