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바이오헬스' 육성 공염불에 그치지 않으려면

  • 2019.05.16(목) 09:44

복지부 등 5개 부처, 제약바이오 현장 목소리 청취
산학연 연계·R&D 및 세제지원·전문인 양성 등 주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논란과 코오롱의 인보사 사태로 바이오 업계가 어수선한 와중에 정부가 '제2의 반도체'로 지목한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 5개 부처가 합동으로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정부에 연구개발 지원 확대와 투자 및 세제 혜택, 전문인력 양성 등을 주문했다.

제약바이오산업을 키우려면 정부가 먼저 달라질 필요가 있다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전문성 강화를 요구하는 요구도 나왔다.

◇ 개방형 혁신, 산학연 연계 활성화 필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재정부 등 5개 정부 부처는 지난 15일 제약바이오협회에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비메모리,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바이오를 3대 중점 육성 분야로 선정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는 그 후속조치의 하나로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자 보건복지부 주도로 마련했다.

이 자리에선 먼저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 벤처와 기업, 대학, 병원 등 산학연이 연계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주문하는 의견이 다수 쏟아졌다. 이정희 유한양행 대표는 "신약 개발을 위해 벤처와 기업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라며 "기업과 대학, 병원 등이 함께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와 조정열 한독약품 대표도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규제 샌드박스 모범사례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그동안 꾸준히 개방형 혁신을 강조해온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도 의견을 함께했다.

◇ 연구개발 지원 확대 및 투자·세제 혜택 주문도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는데 평균 1조원이 넘는 투자가 필요한 만큼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투자 및 세제 혜택을 늘려달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임상 3상 등 R&D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생산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등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신약 연구개발 단계에서 임상 3상에 전체 연구개발 비용의 3분의 1정도가 들어가는 만큼 지원을 더 늘려달라는 요청이다.

이상훈 ABL바이오 대표도 신약 개발에서 초기 지원보다 임상 2~3상 과정에서 지원이 중요하다고 공감했다. 조관구 큐라티스 대표는 결핵 백신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R&D 지원 확대와 함께 벤처도 해외임상 등을 할 수 있도록 대형과제 지원을, 조정열 한독약품 대표는 신약개발 연구비를 자체 조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주문했다.

김동연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은 세계적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기초과학 연구 및 세제 지원을, 강석희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장은 바이오시밀러 등에 대한 세제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및 정부 전문성 강화

부족한 바이오헬스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부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물질 분석과 검증을 위한 국내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의 역량 제고를 지원해야 한다"라며 "벤처의 인력 수급이 곤란하므로 인력 트레이닝 시스템을 부처가 협력해 구축해달라"라고 요구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도 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헬스 인재양성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이상훈 ABL바이오 대표는 해외 우수인력을 국내로 유치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당부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인허가 기간 단축을 위해 식약처의 전문인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허가 심사에 미국은 20억원, 유럽은 10억원의 심사수수료가 드는 반면 식약처는 700만원 수준"이라며 "수수료를 인상하더라도 전문인력을 늘려 의약품 심사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5개 정부 부처, 정책 및 제도개선 긍정적 검토

15일 서초구 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산업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정부 부처들은 각 기관별로 건의사항을 최대한 수렴해 관련 정책 검토 및 제도개선 등을 진행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명확한 목표하에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라며 "예측 가능한 R&D 정책을 통해 바이오헬스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라고 밝혔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위해 임상·생산역량을 보유한 선도기업과 혁신적 기술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 등이 상생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의약품 안전 관리 수준을 세계적 수준에 맞춰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면서 "신속한 품목 인허가 등에 필요한 부족한 심사인력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임상시험 제도개선도 검토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의 R&D 재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세제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할 것"이라며 "바이오헬스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라고 언급했다.

끝으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자 역할을 하겠다"며 "전문인력 양성, 백신 자주화, 개방형 혁신 등을 위한 정책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라고 마무리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