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화장품도 '듀프' 시대…가격은 '4분의 1' 품질은 '비슷'

  • 2025.05.09(금) 13:24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모방한 '듀프' 인기
국내 ODM사와 협업…가격 대비 만족도↑
"원료·성분 유사…제품 기능 개선하기도"

/그래픽=비즈워치

아름다움의 기준

미(美)를 이야기할 때 이젠 피부도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됐다. 타고난 피부를 가졌다 하더라도 관리를 꾸준하게 한 사람을 따라갈 수 없다. 그래서 '피부 관리는 하루라도 빨리 할수록 좋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사람들은 피부 관리를 일종의 투자 개념으로 여긴다. 명품 화장품에 지갑을 여는 이유다. '싼 게 비지떡'이 될 수 있는 저렴한 화장품과 달리 명품은 그 자체만으로도 신뢰도가 높다. 수십년간 쌓아온 브랜드만의 기술력과 엄선된 원료로 만든 성분, 다수의 사람들을 통해 입증된 효과가 굳건한 믿음의 근거다.

샤넬 수블리마지 라인./사진=샤넬 공식 홈페이지 캡처

하지만 명품 화장품을 살 때면 주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짧은 사용기간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보니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샤넬의 '수블리마지 라 크렘'은 크림 가격이 60만원이 넘는다. 통상 매일같이 바르는 스킨케어는 한 통을 다 쓰는 데 두 달 정도가 걸린다. 스킨, 로션 등 다른 기초케어 없이 크림 하나만 사용해도 하루에 1만원을 얼굴에 바르는 셈이다.

매년 관행처럼 이뤄지는 명품 화장품의 가격 인상도 부담 요소 중 하나다. 지갑이 얇은 젊은 층들이 느끼는 부담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더 크다. 이 때문에 젊은 세대들은 성능과 품질이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훨씬 저렴한 대체품들로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 '듀프(Dupe·복제품)'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이유다.승산은 퀄리티와 가격에

듀프가 가격을 확 낮출 수 있는 건 '역기획' 방식 덕분이다. 명품 화장품의 경우 가격을 먼저 정한 뒤 상품을 만들고 여기에 마진을 붙여 판매가를 결정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이윤을 남기기 위해서다. 반면, 듀프는 상품을 개발한 이후에 가격을 책정한다. 중간 유통 과정을 줄이고 광고비를 최소화하는 대신 이를 상품에 투자한다. 그런 만큼 명품 화장품과 비교했을 때 품질에 손색이 없어야만 그나마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에 최근 들어 명품 브랜드의 듀프라는 점을 공개적으로 공표하는 화장품 업체도 생겨났다. '바르는 멀티밤'으로 유명세를 탄 코리아테크의 글로벌 뷰티 플랫폼 '와이레스'가 대표적이다. 와이레스는 당초 듀프를 '윙크' 라인으로 분류해 명품 브랜드를 연상케 하는 게 전략을 가져갔다. 그러나 이제는 주력 매장에 '이 상품과 비교해 보세요'라는 문구를 써붙이기 시작했다. 그만큼 자사의 듀프 제품의 품질이 글로벌 명품 제품들에 비해 뒤쳐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글로벌 명품 화장품을 모방한 와이레스의 듀프(오른쪽)./사진=윤서영 기자 sy@

최근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위치한 와이레스 북촌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해 듀프와 본품을 직접 비교 체험해봤다. 먼저 와이레스의 아방쥔 라인 중 '윈터 까멜리아 세럼'은 샤넬 '레드 까멜리아 세럼'을 모티브로 삼았다. 패키지 디자인부터 본품과 닮은 이 상품은 레드 까멜리아가 가진 고유의 향을 유사하게 구현해냈다. 다만, 외관으로 보더라도 레드 까멜리아보다 묽은 제형이라는 게 느껴졌다. 이 때문에 윈터 까멜리아가 더 촉촉하면서도 가볍게 발렸다.

아방쥔 '모이스처라이징 소프트 크림'은 '연예인 화장품'으로 알려진 라 메르의 '모이스춰라이징 소프트 크림'과 겉보기에 언뜻 비슷한 제형을 갖췄다. 그러나 보습에 강점이 있는 라 메르 크림 대비 흡수력이 빠르고 산뜻함이 강했다. 이보다 확실히 체감되는 건 가격의 차이다. 라 메르 크림은 30㎖ 기준 30만원대인 반면 아방쥔 크림(50㎖)은 이보다 4분의 1 저렴한 7만원대다.듀프 전성기

기초 화장품 뿐 아니라 바디·헤어케어 브랜드 '블루콰티아' 상품들도 눈에 띄었다. 블루콰티아는 조말론은 물론 바이레도, 딥티크 등 글로벌 향수 브랜드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중에서도 '레버리 핸드크림'은 조말론의 베스트셀러인 '라임 바질 앤 만다린'을 모방했다. 하지만 본품보다 발림성이 무겁다는 점은 아쉬웠다.

와이레스는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 만큼 상품별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명품 화장품과 똑같은 성분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다. 또 테스트 과정을 거치며 상품의 기능을 기존보다 개선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 때문에 명품 화장품의 장점을 골라 담은 듀프를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와이레스가 선보이고 있는 듀프./사진=윤서영 기자 sy@

업계 역시 듀프의 인기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등 국내 ODM(제조사 개발 생산) 업체들이 그간 축적해온 기술력 덕분에 듀프의 품질도 상향 평준화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 가격에 이 정도 퀄리티를 갖출 수 있는 게 신기하다'는 소비자들의 호응도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ODM사의 앞선 기술력과 압도적인 퀄리티로 듀프가 모방을 넘어 꾸준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며 "과거만 하더라도 글로벌 브랜드들이 원료 수급에서 우선권을 가졌으나 현재는 높아진 K뷰티의 위상으로 이들과의 경쟁에서 파워를 가질 수 있게 된 점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