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보험사 인수 사활 건 우리금융…KB손보·신한라이프 보니

  • 2025.02.11(화) 07:50

KB손보·라이프, 비은행 계열사 순익 절반 이상
신한라이프 역대 최대 실적에 배당까지
금융지주사 내 보험사 '존재감' 커져

금융지주 내 보험 계열사들의 존재감이 뚜렷해지고 있다. 전년대비 순이익 성장을 달성한 것은 물론 비은행 계열사 중에서도 역할을 확대하고 있어서다. 

국내 금융지주들은 은행의 이자이익 비중을 줄이고 비은행 계열사들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보여준 보험사들의 성과는 우리금융이 생명보험사(동양·ABL생명) 인수에 총력을 다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비은행 존재감 보인 '보험'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지난해 순이익은 사상 최대인 5조원을 돌파(5조782억원)했다. 지난해 KB금융은 핵심인 KB국민은행이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불완전판매 여파로 녹록지 않은 상황에 처했다. 예상보다 손실 규모가 일부 축소됐고 대출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이익 증대가 있었지만 역대 최고 실적 배경에는 비은행 계열사가 꼽힌다.

KB금융은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비은행 포트폴리오가 다양하고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며 리딩 금융 타이틀을 차지하고 있다.

KB금융은 "대규모 ELS 고객보상과 시장금리 하락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증권과 카드, 보험 등 비은행 부문 이익 확대를 통해 그룹의 이익창출 역량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보험사들이 비은행 계열사들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KB손해보험과 KB라이프생명 지난해 순이익이 각각 8395억원, 2694억원으로 전년대비 17.7%, 15.1% 성장했다. 

KB손보는 장기 인보험 신규 증대로 영업손익이 확대됐고, KB라이프생명은 신계약 매출 증가와 사업비 효율화 등으로 보험손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험 계열사들의 안정적인 두 자릿수 성장률은 은행의 부침을 메웠다.

지난해 비은행 계열사들의 순이익 중 KB손보와 KB라이프가 차지하는 비중은 52.8%로 절반을 넘었다.

신한지주의 신한라이프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신한라이프는 지난해 5284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전년보다 11.9% 성장했다. 이 같은 순이익 성장을 바탕으로 지주에 대한 배당도 확대하며 신한지주의 배당확대 정책에 힘을 보태고 있는 상태다. ▷관련기사: 신한지주 '효자' 신한라이프, 배당 규모 확 늘렸다(2월7일)

보험사 부족한 하나·우리, 은행 의존도 너무 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도 지난해 호실적을 달성했다. 다만 두 곳 모두 은행 의존도가 크다는 점에서 비은행 계열사 포트폴리오 다양화 필요성이 큰 게 사실이다.

하나금융의 경우 하나생명과 하나손해보험 등 보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주 내 보험 계열사 규모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나생명은 지난해 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지주 실적에 힘을 보태는데 실패했다.

실제 하나금융은 KDB생명 인수를 추진하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실사 끝에 인수를 포기한 바 있다. 카드와 보험사 등 시장에 M&A(인수·합병) 매물이 나올 때마다 인수 가능한 매수자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생보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금융 역시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대가 절실하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3조86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는데, 우리은행의 순이익이 3조394억원이다. 사실상 우리금융 순이익의 대부분은 우리은행이 차지하고 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취임 후 외형 확장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우리투자증권을 출범했고 생명보험사 인수를 위해 주식매매계약도 체결했다. 

다만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부당대출 등 금융감독원 정기검사를 통해 내부통제 등 다수의 문제가 드러난 상태다. 이로 인해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위원회로부터 생보사의 자회사 편입 승인을 받으려면 경영실태평가 2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생보사 인수 무산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시장에 매물로 나온 보험사 입장에선 금융지주에 인수되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며 "은행 의존도가 높은 금융지주들이 매번 인수 대상자로 거론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