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에 모인 국내 기업인들이 AI(인공지능) 산업의 발전을 위해 데이터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스타트업의 경우 데이터 학습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들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AI 모델 실증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中·日은 정부가 지원…AI 개발 한계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은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산업을 주제로 '성장은 민주당, 미래의 빅테크 기업을 찾는다' 경청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민주연구원 외에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AI진흥 태스크포스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영탁 SK텔레콤 부사장은 이날 'AI시대 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AI 데이터 학습 비용이 많이 든다고 강조했다. 대기업과 달리 자금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경우 AI 학습에드는 비용이 산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이 부사장은 "만일 책 한 권을 구매하려면 3만원이 들지만, AI 학습에 활용하겠다고 하면 약 200만원이 필요하다"면서 "TDM(복제권) 면책조항을 활용하거나 저작권과 관련해 적정 수준을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국가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와 더불어 정부기관과 국영기관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본 또한 2023년 11월 정부,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AI 개발기업에 제공하는 체계를 수립한 바 있다.
AI 스타트업 두다지의 홍석환 CEO(최고경영자)도 이어진 발표에서 데이터 셋(데이터 집합체)의 구축이 미비하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AI 모델을 실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토로했다.
홍 CEO는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실증해야 하는데, 공공기관을 찾아가면 절대 안 해준다"면서 "중국의 경우 데이터 보안과 관련된 문제가 없다보니 완성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실증데이터를 업체에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인재유출 심각…병역특례 등 지원 필요
이 부사장은 미국,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과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 국내 민간기업이나 정부의 투자여력이 부족하다는 점 또한 꼬집었다. 이 부사장에 따르면 전 세계의 AI 민관투자 규모를 200조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1.5%에 불과하다.
그는 "정부와 민간, 글로벌이 함께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균형적인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생태계가 잘 순환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주길 제언드린다"고 말했다.
국내 AI 산업의 인재 유출 문제도 함께 도마 위에 올랐다. 홍 CEO는 지금은 우수한 AI 인재가 모두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면서, AI 인재를 수급할 수 있도록 산업기능요원 등 병역 특례를 도입해달라고 요청했다.
홍 CEO는 "2000년대 초반에 엔씨소프트, 네이버, 넥슨 등은 (산업특례요원을 통해) 똑똑한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는 젊은 산업요원을 받았다"면서 "(병역특례가 생기면) 스마트한 인재를 받을 수 있는 통로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