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팬데믹→인플레→양극화' 한은 총재의 경고

  • 2022.06.02(목) 14:30

BOK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서
'물가안정 외에…' 중앙은행 사회적 책임 강조
"신흥국 '장기 저성장' 우려…대응 고민해야"

"팬데믹(감염병 대확산)의 충격과 그로부터의 회복이 계층별·부문별로 불균등(uneven)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런 이유로 "중앙은행의 사회적 책임 또한 그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변화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란 주제로 열린 BOK(Bank of Korea)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열린 BOK 국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그는 "특히 지난 10여년간 중앙은행의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 활용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자산가격 상승에 대한 부정적 인식 속에, 중앙은행이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입장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고 강조했다. 

이는 저물가·저성장 시기 각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에 따른 부작용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증폭된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 총재는 "이번 인플레이션이 진정된 뒤 선진국을 위시해 한국, 태국, 중국 등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일부 신흥국에서 저물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장기 저성장(secular stagnation) 흐름이 다시 나타날 것인지 아직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고도 했다. 

그는 이어 "만약 그렇게(저물가·저성장) 된다면, 폴 크루그먼 교수가 선진국 중앙은행에 조언한 것처럼, 한국이나 여타 신흥국도 '무책임할 정도로 확실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자산매입과 같은)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활용하면 통화가치 절하 기대로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며 "신흥국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운용에 더욱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행동해야만 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향후 개별 신흥국이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확장적 정책을 홀로 다시 이어간다면 환율과 자본흐름,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함의는 사뭇 다를 것"이라며 "효과적 비전통적 정책수단은 무엇인지 분명한 답을 찾기 쉽지 않으며,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이런 맥락에서 중앙은행의 역할이 더 커져야 한다고 재강조했다.

그는 "코로나 위기 이후 경제 양극화가 확대되고, 디지털·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중앙은행의 역할 범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더 넓어졌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처럼 물가 안정이라는 기본 역할에만 집중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