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대기업들 '폐플라스틱' 모으는 이유 보니

  • 2023.11.17(금) 15:22

EU·미국, 연이은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 강화 
맥킨지 “폐플라스틱 시장, 2050년 600조” 전망

/그래픽=비즈워치

국내 정유·석유화학 기업들이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 친환경 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탈탄소화 시대를 맞아 친환경 사업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향후 폐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7% 이상 성장, 2050년경 600조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면서 기업들의 각축전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폐물이 보물된 까닭

그간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된 폐플라스틱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까닭은 글로벌 정책과 이와 맞물린 시장성에 기인한다. 

탄소중립이 글로벌 화두가 되면서 폐플라스틱 관련 글로벌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플라스틱 포장재에 재활용 소재를 30% 이상 쓰도록 법제화하는 한편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엔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재활용 소재 사용 의무를 현재 15%에서 2030년 30%로 확대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한국도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비율을 30%로 확대하는 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글로벌 폐플라스틱 시장 전망./그래픽=비즈워치

폐플라스틱 적용을 확대하는 정책들이 강화되면서 해당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삼일PwC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시장은 올해 486억달러(약 62조8200억원)에서 2027년 638억달러(82조47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맥킨지는 오는 2050년 이 시장 규모가 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이에 국내 기업들도 폐플라스틱 사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이들 기업이 추진 중인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은 주로 ‘화학적 재활용’이다. 열분해를 이용해 폐플라스틱을 원료 상태로 되돌리는 방식이다.

기존 ‘물리적 재활용’이 플라스틱 종류나 불순물 유무에 따라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화학적 방식으로 이점을 보완했다는 게 업계 측 설명이다. 

열분해 이용한 ‘화학적 재활용’ 대세

SK지오센트릭은 국내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21만5000㎡ 부지에 건설되는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에는 1조8000억원이 투입됐다.

열분해 기술 등을 통해 오염된 소재나 유색 페트(PET)병 등 기존 재활용이 어려웠던 플라스틱도 사실상 무한하게 재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완공 시점은 2025년 말로, 2026년부터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본격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2020년 석화업계 최초로 ‘2050 넷제로’를 선언한 LG화학도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3100억원을 투자해 충남 당진에 2만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공장을 건설 중이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300~500도로 가열해 만든 기름이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이나 납사 등을 추출해 새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지난 8월엔 LG화학과 삼화페인트가 폐플라스틱 기반 화학적 재활용 원료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LG화학이 친환경 재활용 페인트 원료를 공급하면 삼화페인트에서 모바일용 코팅재를 만들어 휴대폰 제조사에 공급한다는 게 골자다. 

아울러 LG화학은 지난 10월 실생활에서 버려지는 PET로 바닥재 원료인 친환경 가소제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기존 제품 대비 탄소 발생량이 대폭 감소했다는 게 특징이다. 이는 북미 수출에 주력하는 주 고객사 요청으로 개발됐으며, 본격 양산 시기는 올 12월로 계획됐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최대 PET 생산기지인 울산공장을 2030년까지 재활용 PET 라인으로 전체 전환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분기 롯데케미칼은 한국콜마홀딩스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친환경 소재가 적용된 화장품 패키징 사업에 나선 바 있다. 

주요 정유·석화 기업들의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 현황 및 계획./그래픽=비즈워치

폐플라스틱 독성 논란…“노출량 따져봐야”

GS칼텍스에쓰오일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집중하고 있다. GS칼텍스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정제공정에 투입하는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에쓰오일은 재활용 전문기업으로부터 열분해유를 공급받아 이를 기존 원유와 함께 처리, 친환경 납사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탄소집약도가 낮은 제품 및 중간원료를 생산할 수 있어 저탄소 ESG 경영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다.

다만 일각선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재활용 플라스틱에 독성 화학물질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11일 스웨덴 예테보리대 베타니 알름로트 교수 국제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데이터 요약(Data in Brief)’에서 “13개국에서 수거한 재활용 플라스틱 샘플에서 살충제와 의약품 성분 등 독성 화학물질 600여개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알름로트 교수는 “플라스틱 사용 중에도 다른 화학물질을 흡착하기 때문에 안전하거나 순환 가능한 플라스틱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재활용 플라스틱은 대부분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업계와 전문가들은 “화학적 재활용의 경우엔 폐플라스틱에서 독성 및 불순물이 검출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열분해 등 과정을 통해 플라스틱의 원료 성분만 남게 된다는 것이다.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만일 화학적 재활용을 통해 만들어진 플라스틱에서 독성이 검출됐다면 일반 플라스틱 제품에서도 독성이 검출돼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해당 연구과정에서 검출된 유해물질이 인체에 해를 가하는 정도인지 극미량인지 등 노출량도 따져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