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로봇 기업 또 투자 나선 LG전자, 미래 그림도 더 또렷해졌다

  • 2024.03.12(화) 15:53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 800억 투자…최대주주 등극
조주완 사장, 로봇 신사업 M&A 예고 후 투자 현실화
성장 흐름 따라 소프트웨어 구조 갖춰 표준화 주도

/그래픽=비즈워치

LG전자가 AI(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투자하며 미래 신사업으로 추진하는 로봇 사업에 속도를 낸다. 이번 투자를 통해 LG전자는 배송, 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힘쓸 전망이다.

베어로보틱스에 800억 투자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 달러(한화 800억원 규모)를 투자,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 하정우 대표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두고, 국내를 비롯해 미국·일본에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식매매거래가 종결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다만 이번 계약은 우선주에 대해 이뤄진다. 우선주는 보통주와 달리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의결권이 없다.

이번 지분 투자는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예고된 바 있다.

조주완 LG전자 CEO(최고경영자)는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로봇이 명확한 미래가 될 것"이라며 "LG전자의 상업용 로봇 사업은 주로 배송과 물류 등 서비스 영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전 방향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조주완 CEO가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LG전자 제공

AI 로봇 표준 세운다

LG전자는 이번 전략적 투자를 통해 로봇 사업의 역량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가 전개해 온 로봇 사업 노하우에 베어로보틱스의 글로벌 R&D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을 연계해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표준화'를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이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SDR, Software Defined Robotics)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양한 공간에서 수많은 로봇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구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드웨어 중심이던 모빌리티 트렌드가 소프트웨어로 변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삼수 CSO(최고전략책임자)는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시각을 공유한 바 있다. 이 CSO는 "5년 정도 지나면 로봇 시장은 의미 있는 규모가 될 것"이라며 "관건은 시장이 성장했을 때 탄탄하게 받춰줄 소프트웨어 구조를 갖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처럼 SDR이라고 하면 플랫폼, 레이어 등을 70~80%까지 응용할 수 있는 모듈을 잘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이런 측면에서 여러 협업 파트너를 찾고 있으며 M&A 기회도 탐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 클로이 캐리봇./사진=LG전자 제공

성장 시장 투자해 미래 준비

LG전자는 이번 지분 투자에 대해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니라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라고 설명한다. LG전자는 지난 수년간 휴대폰, 태양광 등 한계 사업을 과감히 종료하는 대신 미래 고성장 영역에 자원을 집중해 왔다. 그중 하나가 상업용 로봇이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 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미국, 일본, 동남아 국가 등으로 해외 시장 공략도 본격화했다.

로봇 사업은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2030년 매출 100조원, 7·7·7(CAGR/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EV/EBITDA 멀티플) 7배)'이라는 LG전자의 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사업이기도 하다. LG전자에 따르면 서비스 로봇 시장은 지난 2021년 362억 달러(한화 48조원 규모)에서 오는 2026년 1033억 달러(한화 137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이 CSO는 "이번 지분투자는 서비스 로봇 시장이 본격 성장기에 접어들 전망인 가운데, 사업의 '이기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 관점에서는 임바디드 AI(시각·언어·행동모델 기반 신체를 가진 AI)나 로봇 매니퓰레이션 고도화 등 차별화 기술 영역과 접목해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며 로봇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