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기업 글로벌 주민번호 'LEI', 거래 위험 줄인다

  • 2019.01.31(목) 16:55

금융위기 이후 장외거래 규제 움직임 확산
국내 발급기관 예탁원 "리스크 효율 관리"

금융기관이 표준화한 식별코드 없이 제각각 기준으로 은행이나 증권사 등을 관리하면 어떻게 될까. 예를 들어 한 곳에선 'Kookmin Bank'라고 표기하고 다른 곳에선 'KB bank'로 사용하는 식이다.

동일한 법인을 금융기관마다 서로 다르게 표기하고 인식한다면 금융 프로세스 자동화와 위험관리가 그만큼 까다로워진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에서 개별 금융회사들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사명이나 코드를 사용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보취합 등에 어려움이 존재해왔다.

이병래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이 3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LEI Meet the Market' 행사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인 이른바 법인식별코드(LEI) 제도다. 금융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법인에게 주민번호 같이 표준 식별코드를 부여, 관련 정보를 공유하자는 것이다.

보통 LEI는 20자리의 숫자와 영문 알파벳으로 이뤄진다. 앞 네자리에는 발급기관의 코드를, 5~18번째 자리에는 법인명이나 사업장 주소 등 법인에 대한 기본적 정보를 넣어 구성한다.

LEI를 활성화하자는 논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외거래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 및 감독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확산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위험관리를 위한 국제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금융기관들이 뒤죽박죽으로 이용하고 있는 법인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통일된 법인식별 제도를 마련하자는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지난 2011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선 장외파생상품 거래내역을 LEI를 이용해 거래정보저장소에 보고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금융당국이 거래주체별 파생거래 익스포져(위험 노출액)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겠다는 의도다.

현재 국내에선 약 1000여개의 LEI가 발급되어 있으나 경제력과 금융 산업 규모를 감안했을 때 활용이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계적으로 약 134만개의 LEI 코드가 발급되어 있고 미국은 17만여개, 영국 13만여개, 독일 11만개 등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LEI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것과 비교된다.

다만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LEI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에서 금융거래를 할 때 LEI가 필요한 만큼 발급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금융위원회는 금융투자업자가 장외파생상품을 거래할 때 LEI를 이용해 거래정보저장소에 거래내역을 보고하도록 규정을 정비하고 있다.

종합증권서비스 기업이자 LEI 발급 및 보관 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예탁결제원은 3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글로벌 금융당국 및 국내 금융투자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LEI를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병래 예탁결제원 사장은 "LEI 이용이 활성화되면 각종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감독기관 보고의무 부담도 경감되며, 향후 LEI 참조정보(Reference Data)를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기회를 창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작년에 LEI 수수료를 대폭 인하해 기업 부담을 낮췄다"라며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지사가 보다 편리하게 LE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LEI 서비스 발급대상 국가를 영어권 주요 국가로 확대했다"고 소개했다.

예탁결제원은 LEI 활성화를 위해 관련 행사 뿐만 아니라 기업 대상 로드쇼를 추진한다. 아울러 국내는 물론 우리나라 기업이 많이 진출한 해외 국가를 직접 찾아가 설명하는 자리를 만든다는 방침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