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에서 임원 자리에 올랐다면 대부분 정치적인 인물로 봐야 합니다. 인사철이 되면 온갖 연줄이 다 동원됩니다. 투서와 음해, 여론전도 판을 칩니다. 심지어 돈이 오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우리은행 출신 전직 임원의 말이다. 우리은행은 정부가 대주주다. 그러다 보니 은행장은 물론 임직원 인사 과정에서 가장 외풍이 심한 은행으로 꼽힌다.
우리은행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또 도마에 올랐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과 같은 대학 출신인 이광구 부행장이 갑작스레 유력 후보로 부상한 후 실제로 은행장에 오르자 온갖 설이 난무하고 있다.
◇ 서금회에서 7인회까지 설 난무
이광구 부행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나온 서강대 금융인 모임인 ‘서금회’ 출신이다. 그러다 보니 외압 논란이 거세다. 특히 비슷한 시기에 선임된 홍성국 대우증권 사장 역시 서금회 출신이어서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과 맞물려 정치적인 논란으로 비화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이 부행장이 충남 천안 출생이다 보니 박 대통령의 원로 자문그룹인 ‘7인회’ 멤버 중 충청권 출신인 S씨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S씨가 청와대를 통해 은행장 선임 과정에 직접 압력을 행사했다는 얘기다.
물론 반대 이야기도 나온다. 이광구 부행장이 유력 후보로 부상하자 이순우 현 행장 측이 서금회 출신이라는 점을 내세워 여론전을 펼쳤다는 얘기다. 사실 이 행장이 우리금융 회장에 취임할 당시에도 청와대 실세의 지원설이 파다했다.
◇ 금융위는 허수아비로 전락
금융위원회는 이 과정에서 허수아비에 불과했다. 금융위가 처음에 은행장 후보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진 이순우 현 행장과 이동건 수석부행장, 정화영 중국법인장 등 세 명은 최종 후보군에 한 사람도 들지 못했다.
보통 우리은행처럼 정부가 지분을 가진 금융회사나 공공기관의 임원을 뽑을 땐 금융위가 일종의 제청권을 행사한다. 단수 내지는 복수 후보군을 추천하면 청와대가 이 후보군 가운데 적임자를 정하는 식이다. 큰 문제가 없으면 보통 금융위의 제청권을 인정해준다.
하지만 최근엔 금융 주무부처인 금융위가 철저하게 배제되고 소외되는 모양새다. 우리은행장 선임 과정에서도 금융위는 허수아비 수준으로 전락했다. 청와대의 지시에 따라 가끔 메신저 역할만 했을 뿐이다.
◇ 청와대 '만기친람' 혼란 증폭
문제는 이 과정에서 전혀 교통정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위가 관치를 할 땐 그나마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었고, 그러다 보니 큰 논란도 없었다.
반면 청와대가 거칠고, 노골적인 방법으로 직접 나서면서 잡음과 혼란을 키우고 있다. 특히 금융권 감사 자리엔 금융과는 일면식도 없는 인사들이 자리를 꿰차고 있다. 최근엔 청와대 자체가 비선 실세에 의해 좌지우지된 정황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근원을 알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의혹과 설도 난무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은행연합회장 선출 과정에선 이사회 멤버인 은행장들조차 모르는 상태에서 내정설이 불거졌다. 우리은행장 역시 최종 후보군을 정하지도 않았는데 내정설이 먼저 흘러나왔고, 결과는 여지 없었다.
경실련은 8일 성명서를 통해 "이광구 부행장의 우리은행장 내정은 관치금융의 결정판"이라면서 "개발독재 시대에서나 볼 수 있었던 관치금융 행태는 금융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것은 물론 금융 시장질서를 근본적으로 훼손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