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SK가 자발적 탄소감축 시장에 주목한 이유

  • 2023.01.16(월) 17:13

UAE와 탄소감축 시장 확대에 협력
2050년 100배 이상 성장 예상

/그래픽=비즈니스워치

SK가 아랍에미리트(UAE)와 함께 자발적 탄소감축 시장(VCM) 활성화에 나섰다. VCM은 탄소감축분을 기업들이 민간 플랫폼을 통해 자유자재로 거래하는 시장이다. 정부가 감축량을 할당하는 기존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보다 탄소 중립에 더 기여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SK는 VCM을 아시아 전역으로 확장하고, ESG경영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UAE 손잡은 SK, 탄소감축 적극 나선다

SK그룹은 15일(현지시간) 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와 자발적 탄소시장 아시아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엔 최태원 SK 회장과 칼둔 알 무바락 무바달라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무바달라는 주로 글로벌 친환경 분야 등에 투자해 왔다. UAE가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주최국이어서다. 이 펀드는 지난 2019년 설립된 탄소배출권 거래 서비스 기업 에어카본 익스체인지(ACX∙AirCarbon Exchange)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자발적 탄소시장이란 정부가 아닌 민간이 주도하는 탄소시장을 말한다. 기업이나 기관, 개인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민간 기관에서 인증받는 방식이다. 이후 '탄소 크레디트'를 발급받아 민간 플랫폼을 통해 이를 거래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탄소감축을 통해 크레디트를 팔거나, 이를 구매해 환경단체에 기부하면 ESG 경영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K와 무바달라는 앞으로 운영위원회와 실무단체 등 협의체를 구성해 세부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주 논의점은 탄소감축 인증방법에 대한 신뢰도와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탄소감축도 민간이 주도한다 

탄소 거래는 정부가 규제하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와 민간 주도의 VCM으로 나뉜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기업이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탄소 배출량보다 더 배출한 부분에 대해 다른 기업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정부가 정해준 할당량 이상으로 탄소감축분은 인증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점을 보완한 것이 VCM이다. 정부나 규제기관의 감독이 아닌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탄소 크레디트를 거래할 수 있다. 할당량에 제약이 없어 기업들의 적극적인 탄소감축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VCM은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 확산과 탄소 중립 정책으로 급성장하는 추세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탄소크레딧 규모는 전년 대비 60%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거래량 또한 약 20억 달러로 전년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미국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탄소 크레디트에 대한 수요가 2030년까지 현재보다 최대 약 15배, 2050년 100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감축에 적극적인 유럽 등에선 VCM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아시아 지역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민간 인증기관은 2021년 SK가 설립한 탄소감축 인증센터가 유일하다. 탄소 크레디트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도 '팝플(POPLE)'만 존재하고 있다.

국내에서 VCM에 주목하기 시작한 건 비교적 최근이다. 여러 업체가 ESG경영의 일환으로 VCM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금호석유화학, SKC 등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은 총 1000t(톤)의 탄소 크레디트를 구매했다. 이들은 구매한 크레디트를 환경재단에 기부하고, ESG경영 성과를 올렸다. 이들 기업은 이후 ESG 경영 확대를 위해 VCM을 이용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SK그룹 관계자는 "유럽 등 해외에선 VCM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나 아시아 지역에선 아직 걸음마 단계"라면서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장차 아시아 전역에서 자유롭게 탄소 배출을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