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전투기 전문 아니었어?" 500조 민항기 시장 주름잡는 KAI

  • 2024.06.17(월) 06:50

지난해 8천억 돌파…전체 매출 비중 20%대 달해
실적 회복세 완연...2030년 매출 2조원 달성 전망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하면 자동적으로 전투기가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민항기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넓혀가고 있다. KAI의 기체 산업은 군수 사업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고 있지만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선에 달한다.

KAI는 민항기 기체구조물을 제작해 에어버스, 보잉 등 다수의 민항기 제조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지난해 관련 매출이 8000억원을 넘어선데 이어 2030년 2조원 규모의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래픽=비즈워치.

기체사업 회복세 완연

17일 KAI에 따르면 기체 사업 부문 매출은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1년 4991억원에서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7484억원,  8061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22년 30%에 육박하는 등 20%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보잉과 에어버스 등 항공기 제작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인도 물량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항공기 신규 인도 물량은 빠르게 회복 중이다. 관련 업계는 올해를 기점으로 에어버스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KAI에 대한 기체 부품 사업 부문 실적도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항기 시장의 성장성과 맞물려 향후 KAI의 실적 개선에 민항기 부문의 기여도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항공분야 시장분석기관 포케스트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세계의 민항기 시장 규모는 2023년 2294억 달러에서 2032년 3848억 달러(약 509조원)로 연평균 5.9%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 관계자는 "기존 해외 거점인 미국과 프랑스에서 발을 더 넓혀 영국 등 유럽 각국과 군수 사업을 진행 중인 동남아 국가까지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칠 예정"이라며 "2030년에는 2조원 매출을 달성하기 위해 해외의 유망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커가는 기체 사업에 맞춰 신규 개발까지 선점할 계획"이라며 "KAI는 보잉과 에어버스가 착수할 차세대 민항기 개발 사업에 주익, 동체 등 핵심 구조물의 국제공동 개발 파트너(RSP) 업체로 참여하기 위해 개발 역량 확보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래픽=비즈워치.

미래가 기대되는 민항기 사업

올해 KAI의 완제기 수출 전망도 여전히 밝다. KAI는 에어버스 A350 윙립 자동화 공장 생산성을 증대했고, 자동화율을 90% 이상으로 올렸다. 이로 인해 KAI의 월 생산대수는 7대에서 12대까지 증가할 예정이다. 선진업체에 비춰봐도 △KAI의 혁신적 생산라인 △고객사의 물량 증가 요청 △다른 공장으로의 자동화 확대 기대 △항공산업 회복 기조 등을 종합하면 실적 개선이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실적 개선에 더해 수익성도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KAI의 영업이익은 2535억원으로 2022년(1483억원) 보다 70.9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증가율(37%)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특히 KAI의 작년 순이익률도 2022년 4.52%에 비해 6.09%로 늘었다. 순이익률은 매출액 중 주주에게 돌아가는 순이익의 비중으로 경영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이동현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민수 사업 확대로 KAI의 내년도 매출은 1조원이 예상되며 2030년 두 배, 2040년 네 배, 2050년 12조원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지난해 보잉의 민수 시장 역할이 줄었어도 납품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올해 목표 민수 기체 9000억원 달성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