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누구나 별도 비용없이 자유롭게 와이파이나 사물인터넷(IoT)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비면허 대역 주파수 공급 방안을 최종 확정했다.
이를 활용하면 향후 와이파이 속도가 기존보다 5배 빨라지고 저비용·고효용의 5G급 스마트공장 망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6기가헤르츠(㎓) 대역(5925∼7125㎒, 1.2㎓ 폭)을 비면허 주파수로 공급하는 방안을 확정하고 세부기술기준 등 관련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정부는 국민 편익을 고려해 실내에서 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경우 1200㎒ 폭 전체를 공급하기로 했다. 다만 5G폰과 가상현실 기기 등 기기간 연결을 할 때에는 이용자 보호를 위해 하위 500㎒폭만 출력조건을 제한키로 했다.
이용폭과 출력기준 등 최소한의 이용 조건만 규정키로 해 이용자가 차세대 와이파이는 물론 5G 기술을 비면허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5G 보조할 기술로 6㎓ 중요성 높아져
그동안 5G 통신 서비스를 보조할 기술로 '와이파이 6E', '5G NR-U(5G, New Radio Unlicensed, 3GPP 표준) 등의 차세대 비면허 통신기술이 주목을 받아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선 6㎓ 대역이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초고속 통신망과 주파수 수요가 증가하면서 6㎓ 대역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작년 12월 이른바 '5G+ 스펙트럼 플랜'을 통해 6㎓ 대역을 비면허로 공급키로 했다. 이번 정책 결정으로 공급 폭과 확정 시기를 예고한 것이다.
5G 융복합 서비스 확산 기대
과기정통부는 이번 방안으로 6㎓ 대역을 활용한 비면허기술도 5G 성능으로 확장돼 고품질 데이터 복지를 실현하고 산업 전반에 5G 융복합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와이파이의 경우 속도가 5배로 대폭 향상돼 고용량의 5G 콘텐츠를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와이파이용 주파수 공급은 16년 만으로 주파수 폭이 3배 확대(663.5㎒→1863.5㎒)돼 비면허 기술의 지속발전을 위한 토대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5G NR-U를 이용해여 저비용·고효용의 5G급 스마트공장 망 구축이 가능해져 중소 공장 등에 5G+ 기술 도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 6㎓ 공급 이후 데이터 소비 형태의 변화상 】
① (저비용) 퇴근 후 집에서 차세대 Wi-Fi로 통신료를 절감하여 5G 콘텐츠를 감상
② (고품질) 실외에서 5G폰과 테더링을 통해 4K급 AR/VR 영상을 감상
③ (안정성) 대형카페·학교·역사 등 실내 인구밀집 구역에서 “Wi-Fi 먹통”으로 불리는 통신성능 열화 해결
산업계에서는 이번 정책이 우리나라 ICT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6㎓ 대역 와이파이 기기·단말·컨텐츠·게임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먹거리로 기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와이파이 6E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해 글로벌 기술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 5G 대용량 콘텐츠 소비수단의 다양화(5G+와이파이 6E)로 관련 5G 시장의 성장과 매출 증대도 예상된다.
과기정통부는 행정예고 기간인 오는 8월24일까지 추가 의견수렴을 진행한다. 관련 고시 개정안은 과기정통부 홈페이지, 국가법령정보센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