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 간 사일로(Silo·저장고)를 극복한 하나의 정부 구현이 목표입니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3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통합적·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처 간 협업과 데이터 공유가 원활하게 이뤄지는 정부를 구현하려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추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통령 직속 위원회다.
인공지능(AI)·데이터·보안 등 각 분야 전문가인 19인의 민간위원과 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 장관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을 포함한 당연직 정부위원 4명으로 구성돼 지난해 9월 출범했다.
고 위원장은 이날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성공은 역설적으로 부처 간 칸막이를 높이고 시스템과 데이터의 연계를 어렵게 했다"며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해 국정운영 시스템의 근본적 재설계와 민·관의 역할 재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민간위원을 중심으로 위원회를 운영해 로드맵 주요 과제를 도출하고,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는 식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고 위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기존 위원회와는 다르게 철저하게 민간위원 중심으로 로드맵을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며 "오는 3월 디지털플랫폼정부 청사진과 로드맵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로드맵에는 부처별 데이터, 시스템의 칸막이를 극복해 국민에게 통합적·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이 담겼다"며 "원활한 데이터 공유와 디지털 기술을 통한 과학적 행정에 대한 세부 과제뿐 아니라 유관 산업 육성을 위한 내용까지 포괄할 것"이라고 했다.
또 "부처간 사일로를 극복한 '하나의 정부' 관점에서 과제를 발굴하고 구체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현 정부 내 실현 가능한 과제를 중심으로 하되, 정부의 근본적 변화를 견인할 중장기 과제까지 함께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사일로는 저장고나 미사일 지하설비 등을 뜻하는 말인데, 담을 쌓고 외부와 소통하지 않는 부서를 지칭할 때도 쓰인다.
고 위원장은 아울러 인공지능, 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적극 도입해 과학적이고 투명한 정부를 구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다.
그는 "인공지능,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를 전면 개방하고, 정부 서비스도 개방해 민간 서비스와 융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겠다"며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민관이 협업해 다양한 실험과 새로운 시도가 가능해지는 개방된 공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오는 3월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발표한 이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부처와 민간 협력을 주기적으로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새롭게 발생하는 이슈나 현안 조정을 위해서는 별도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보다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유연하게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