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코인하려고 맡긴 돈에 2.5% 이자…파킹통장 대체할까

  • 2024.07.23(화) 15:58

코인거래소, 가상자산법 시행으로 이자지급
역마진 가능성…거래소 '부익부빈익빈' 우려

가상자산거래소들이 예치금 이자율을 경쟁적으로 올리면서 비용 부담이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금융권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으로 각 거래소들은 이용자가 맡긴 예치금에 이자를 지급하게 됐다. 거래소들은 예치금 이자를 1.0~2.5% 수준으로 책정했다.

애초 이자율이 1.30%였던 업비트는 2.10%로, 빗썸은 2.00%에서 2.20%로, 코빗은 1.50%에서 2.50%까지 올렸다. 코인원과 고팍스는 변동없이 각각 1.00%, 1.30%를 유지했다.

이번에 예치금 이자율을 큰폭 올린 거래소들은 실명계정 제휴은행과 재협의를 거치지 않았다. 제휴은행과 관계에서 우위를 점한 업비트를 제외하면 다른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이자율을 높이기로 결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각 거래소마다 예치금 이자가 다른 건 각사 영업전략과 제휴은행 파킹통장의 금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있는데, 케이뱅크의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 금리(2.30%)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서 예치금 이자율(2.10%)을 결정했다. 가장 높은 이자를 주는 코빗도 신한은행 파킹통장인 '헤이 영(Hey Young) 머니박스'와 비교하면 예치금 이자율(2.50%)이 0.50%포인트 낮다.

만약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 이자율이 제휴은행 파킹통장 금리보다 높을 경우 거래소는 역마진에 처하게 되고, 제휴은행도 영업기반을 잃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래소들이 제휴은행의 파킹통장 금리보다 살짝 낮은 수준에서 가상자산 예치금 이자율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더라도 예치금에 대한 이자 지급은 거래소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거래소들이 예치금 이자를 올리면서 거래소가 챙기기로 한 몫을 포기하거나 일부 이자비용을 떠안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업비트는 케이뱅크에 이자율 상향을 관철시킬 수 있겠지만 다른 거래소는 은행과 관계에서 추가 이자 지급을 요청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거래소들이 무리해서라도 비용을 써가며 이자율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은행권 관계자도 "지난 5월부터 논의가 있었지만 실명계정 제휴 은행들이 가상자산거래소 고객 예치금에 지급하는 금리는 1%대였다"며 "최초 거래소들이 발표한 금리 최고치가 1.3%인데 이게 은행과 계약한 내용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코인 거래 않고 이자만 노리면? 

결국 1위 거래소를 제외하면 나머지 거래소들은 이자율 상향으로 수익이 줄거나 지출이 늘어나는 상황이다. 일단 고객 이탈에 대한 우려로 경쟁적으로 이자율을 높였지만 시장 상황이 악화되거나 경쟁에서 밀리게 되면 이자비용은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 파킹통장보다 높은 이자를 노린 고객들이 거래소로 몰려들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코인 거래는 하지 않으면서 단기 자금을 예치금으로 맡길 경우 거래소는 수수료 수입과 거래 증대 효과 없이 이자 지급 부담만 떠안게 될 수 있다.

특히 현재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 은행권의 파킹통장 금리는 최고 3%대를 기록 중인데, 여기에는 카드사용, 평잔유지, 자동이체 연결 등 각종 부가조건이 붙는다. 이에 비해 거래소가 제공하는 2%대의 예치금 이자율은 아무런 조건없이 받을 수 있다.

결국 제휴은행으로부터 이자를 보전받지 못하는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이자 비용을 충당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각 거래소의 경영 상황에 따라 예치금 이자율이 다시 내려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초기에는 고객을 붙잡아두기 위해 경쟁적으로 예치금 이자율을 올렸지만 비용부담이 계속되면 버티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예치금 이자율은 거래소가 자체적으로 높인 만큼 내릴 때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이 업계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특정금융정보법이 나올 때도 그랬지만 제도화가 될수록 업계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며 "선두업체는 제도화에 대비하며 더 안정적으로 경영환경을 만들고 사업을 키우지만, 중하위권 업체들은 따라잡으려다 더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