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공원이 115년 만에 국민의 품으로 돌아오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
구역을 더 넓혀 남산과 한강의 녹지축을 연결하고, 30년 넘게 미군이 임차해서 사용하던 외인아파트를 유지‧보수해 국민 체험 공간으로 공개하기로 했다. 이 같은 용산공원 실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수립해 나갈 밑그림도 그려 나간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이낙연 국무총리 및 유홍준 민간공동위원장(명지대 석좌교수) 주재로 열린 '제1회 용산공원추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용산 공원화는 지난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공원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2007년 '용산공원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탄력 받았다가 정화 비용 등의 문제로 협상이 부진해지면서 기지 반환이 차일피일 미뤄져 왔다.
그러다 현 정부에서 2014년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 수립을 마무리하고, 이달 11일 미국과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에서 용산기지의 환수 절차 개시에 합의하면서 용산공원 조성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위원회는 용산공원 구역을 약 243만㎡에서 303만㎡로 약 60만㎡ 확장하는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를 위해 용산공원 북단의 ▲옛 방위사업청 부지(약 7만3000㎡) ▲군인아파트 부지(4만4000㎡)와 용산기지 인근의 ▲국립중앙박물관(29만5000㎡) ▲전쟁기념관(11만6000㎡) ▲용산가족공원(7만6000㎡) 등이 용산공원 경계 내로 편입된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을 연결하고 용산공원 남측과 북측의 접근성읖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국민 참여형 용산공원 실행계획도 단계적으로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내년부터 1단계로 조경‧환경‧건축‧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실행계획안을 보완한다. 2단계로 대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3단계로 국민 참여단을 구성해 실행계획을 확정한다.
또 지난 1986년부터 미군이 임차해서 사용하던 외인아파트를 유지‧보수해 내년 하반기에 5단지부터 순차적으로 단기 체류형 숙박시설, 작은 도서관, 용산 아카이브 전시관 등 국민 체험 공간으로 개방한다. 기지 내부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버스투어를 확대 발전해 미래세대, 소외지역 주민 등을 초청하는 테마형 그룹투어도 진행한다.
공원 시설물 관리방안도 1~3단계로 나눠 정밀안전 진단 및 3D촬영 등 종합 관리방안 마련해나간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산공원 조성으로 5만 그루의 나무 식재 효과, 연간 약 61만명의 숨쉬는 공기 생산 효과, 연 6톤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예상된다"며 "아울러 역사적 상징성 등을 고려해 국가가 지자체와 협력해 조성‧운영하는 최초의 국가공원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