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으로 전에 없던 새로운 직업이 등장할 수 있다. 로봇이 일자리를 뺏는다기 보다 오히려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시켜 줄 것이다"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크다. 번역가나 캐셔, 경리, 단순 공장근로자, 비서 등이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직업들이다. 그렇다면 로봇은 비인간적인 기술일까. 이에 대해 대표적인 로봇 전문가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워치가 28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개최한 '로봇시대 우리의 일자리' 포럼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김진오 광운대 로봇학부 교수는 "로봇기술이 대체할 직업이 있겠지만, 그 이유로 로봇이 인류를 위협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오 광운대 로봇학부 교수가 2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18 비즈워치포럼'에서 로봇 개발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
김 교수는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봇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월급이 아니라 노동의 수준이 같아야 평등한 것"이라며 "누군가는 쉬운 일을 하고, 누군가는 어렵고 위험한 일을 하며 같은 돈을 받는 건 불평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봇이 대체하는 직업이 있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로봇기술 자체는 인간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로봇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전에 없던 새로운 일자리가 더 많이 생길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발달해 공장자동화와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도입이 늘어난다면 해당 분야의 일자리는 분명히 줄긴 할 것"이라며 "이런 분야는 기존에 있는 기술을 로봇이 대체하는 경우"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수술 로봇 다빈치를 구동하는데에도 의사와 간호사가 모두 필요하며 일본에서 개발 중인 장애우용 식사로봇의 개발에 있어서도 어느 음식을 집어야 하는지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새로운 직업군의 사람이 필요하다"며 "인간과 로봇이 융합하는 경우가 많아질수록 로봇 기술이 인간의 행복과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로봇 기술이 인류를 위협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우려에 대해서는 모든 종류의 기술이 가진 딜레마라는 지적했다.
김 교수는 "모든 과학기술은 위협도 되고 도움도 된다"며 "바이오 기술도 인간의 질병을 고치기도 하지만 생물학전의 위험성을 키우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나쁜 로봇은 없다. 다만 나쁜 인간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로봇은 어떻게 존재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인간다움을 지키는 노력을 통해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카네기멀린대에서 로봇학 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세콤연구소 연구원과 삼성전자 로봇사업부장 등을 거치면서 300종이 넘는 로봇 개발을 주도한 이 분야 전문가다. 지난 2008년 '로봇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조셉 엥겔버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