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그래픽/김용민 기자 kym5380@ |
통신 3사의 지난 2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가운데 이동통신 본업 경쟁력을 끌어올린 LG유플러스가 돋보였다. 다만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향후 실적은 안갯속이다.
◇ LG유플러스, 이 동네 성장세 1등은 '나야 나'
2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액은 13조1978억원, 영업이익은 1조786억원이다.
통신 3사 가운데 LG유플러스의 실적이 덩치는 가장 작아도 가장 날렵했다.
LG유플러스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5.5% 증가한 2080억원을 기록하고, 같은 기간 매출액은 4.5% 오른 3조97억원을 달성하는 등 성장성이 타사보다 빼어났다. 이 회사가 분기 매출액 3조원을 달성한 건 작년 4분기 3조1221억원 이후 두 번째다.
KT는 덩치가 가장 크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4.8% 증가한 4473억원이었고, 매출액은 2.9% 오른 5조8425억원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9% 증가한 423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1.8% 늘어난 4조3456억원이다.
◇ 무선 수익이 '관건'
통신 3사들의 본업인 무선 부문의 수익을 보면 LG유플러스의 성장세를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다. 3사의 2분기 무선 매출액은 6조2926억원이었는데, LG유플러스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1조4016억원을 달성했다.
반면 SK텔레콤은 0.6% 증가한 3조1096억원, KT는 5.2% 감소한 1조7814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가입자 지표에서도 이런 내용이 확인된다. LG유플러스는 고가 요금제를 쓰는 LTE 가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는데, 이번 분기에 통신 3사 중 처음으로 LTE 가입자 비중이 90%를 넘었다. 실제로 LG유플러스 무선 가입자는 2분기에 18만4000명 순증해 1283만1000명을 기록했다. LTE 가입자는 1155만6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90.1%를 찍었다.
KT 가입자는 28만7000명이 순증해 1952만1000명을 나타내면서 2000만명에 바짝 따라붙었다. LTE 가입자는 1486만9000명으로 전체의 76.2%를 기록했다. SK텔레콤 가입자는 16만명이 순증, 2999만3000명을 기록했고, LTE 가입자는 2207만1000명으로 전체의 73.6%였다.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 부문을 봐도 LG유플러스의 성적이 가장 우수하다. LG유플러스는 전분기보다 약 1% 오른 3만5743원을 기록했으나, SK텔레콤은 3만5241원으로 1.5% 감소했다. KT도 2.1% 줄어든 3만4554원을 나타냈다.
통신 3사의 마케팅 비용은 1조9767억원인데, KT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년보다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전년보다 7.7% 증가한 5454억원을 나타냈다. SK텔레콤의 마케팅 비용 또한 7677억원으로 전년보다 6.5% 늘어났다. KT만 4.0% 감소하면서 6636억원을 기록했다.
◇ 앞으로는?
2분기 사정은 이렇지만, 올해 전체 실적 전망은 불투명하다. 정부가 오는 9월 선택약정 할인율을 기존 20%에서 25%로 상향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선택약정은 휴대전화 단말기 공시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 할인을 받는 제도다. 공시 지원금은 제조사와 통신사가 분담하는 구조이지만, 선택약정 할인은 통신사가 전액을 부담하는 방식이므로 당장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통신사 연간 매출액이 7000억원대 정도 하락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이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지난 27일 실적 발표 이후 열린 컨퍼런스 콜에서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법적 대응을 비롯해 현재 검토 중인 다양한 대책을 공식 발표했다.
특히 SK텔레콤은 통신비 청구서에 단말기 대금을 분리해 과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말기 대금이 얼마인지 구분해 보여주면 통신 요금이 비싼지 싼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단말기 판매와 요금제 가입을 구분하는 완전 자급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분리 공시제와 보편 요금제 도입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유영상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은 컨콜에서 정부 통신비 인하 정책에 대해 "통신 사업자의 수익성 악화, 5G 등 성장 사업 투자 위축, 통신 품질 저하로 이어져 이용자 편익을 훼손하고, 유통·콘텐츠·장비 등 통신 사업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쳐 국가 경제 발전에도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며 "정부와 지속 논의해 합의점 도출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법적 대응 방안을 포함해 단말기 자급제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혁주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컨콜 전날 자사 권영수 부회장이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만나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통신사 피해 문제 등을 말했다고 전하면서 "정부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사안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