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HLB, HLB생명과학 흡수합병 추진

  • 2025.04.01(화) 18:00

지배구조 단순화로 효율 극대화
리보세라닙 판권·수익권 통합
최대주주 지분율 7.23%→6.63%
주식매수 청구 등 거쳐 8월 완료

HLB와 HLB생명과학이 합병한다. 이번 합병은 지배구조 단순화를 통해 경영 효율화를 높이고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각 회사가 보유한 신약후보물질 리보세라닙의 판권과 수익권이 통합된다. 

HLB과 HLB생명과학은 1일 이사회를 열고 HLB가 HLB생명과학을 흡수합병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HLB생명과학 주주들에게 HLB의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주당 합병가액은 HLB 5만8349원, HLB생명과학 6812원이다. HLB생명과학 보통주 1주당 HLB 보통주 0.1167458주가 배정된다.

합병이 완료되면 HLB 최대주주인 진양곤 대표이사의 지분율은 7.23%에서 6.63%로 변동될 전망이다. 다만 최대주주에 특수관계인까지 포함한 지분율은 9.56%에서 10.37%로 소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합병으로 HLB와 HLB생명과학은 각각 보유한 리보세라닙의 판권과 수익권을 통합하게 된다. HLB는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판권을, HLB생명과학은 국내 판권 및 일본·유럽에 대한 수익권을 보유하고 있다. 

HLB 관계자는 "수익 구조가 통합되면서 중복 비용을 최소화하고 수익성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면서 "간암 신약 등 항암제의 글로벌 허가와 시판이 이뤄질 경우, 이를 통한 배당 확대나 가치 상승 등의 이점을 HLB와 HLB생명과학 주주들 모두 향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합병으로 HLB는 HLB생명과학의 자회사 지분을 확보함에 따라 계열사의 성과가 HLB 가치에 직접 반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LB생명과학은 비상장회사인 세포치료제 개발기업 'HLB셀'과 동남권 소각로 사업을 하는 'HLB에너지'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다. 또한 HLB제약 14%, HLB이노베이션 3% 등의 지분과 HLB 주식 193만주도 보유하고 있다.

HLB생명과학의 연구개발(R&D) 역량이 HLB와 통합되면 차세대 신약후보물질 개발업무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된다. HLB생명과학의 자회사인 HLB생명과학R&D는 동탄에 위치한 신약연구소를 중심으로 현재 리보세라닙과 병용 시너지가 높은 항암물질을 발굴하고 있다. 

최종 합병은 오는 6월 12일 HLB는 이사회를 통해, HLB생명과학은 주주총회를 통해 확정된다. 피합병법인인 HLB생명과학 주주에 한해 주식매수청구권이 부여되며, 매수권 행사 기간은 6월 12일부터 7월 2일까지다. 합병 기일은 8월 1일로 예정됐다.

남상우 HLB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이번 합병을 통해 인적·기술적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경영 효율성도 높일 예정"이라며, "특히 리보세라닙 간암신약이 미국에서 허가를 받게 되면 합병 후 기업가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 국내 품목허가 신청도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