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응답하라, 동부그룹 김준기 회장

  • 2014.06.27(금) 11:35

동부제철의 채권단 공동관리가 임박했다. 그룹의 지주회사인 동부CNI도 다음 달 초반에 돌아오는 회사채 500억 원의 상환을 의심받기 시작했다. 김준기 회장은 냉정히 비금융을 꼬리 자르고 금융으로 재기의 발판을 만들려 할지도 모른다. 그렇게만 된다면 나름대로 성공이다. 오너의 판단 잘못을 국민에게 떠넘겼다는 여론의 뭇매를 맞을지언정, 그렇게라도 그룹의 절반이라도 살려야 하는 것이 기업가의 책임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금융시장이라는 것이 한없이 냉정하다가도 어디로 튈지 도저히 예상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투자자들의 심리 때문이다. 금융시장은 종종 망망대해에 멈춰 선 함선의 쥐떼와 같다고 비유한다. 이 쥐떼는 공포를 이기지 못하고 죽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바다로 뛰어든다.

현재 지분구조 상으로 단절된 동부의 금융과 비금융이 그렇다. 하지만 적지 않은 금융인이 이를 쉽게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금융부문의 지주회사 격인 동부화재의 김준기 회장과 오너 일가의 지분율은 31.3%다. 이 중 25.7%가 이미 금융회사에 담보로 잡혀 있다. 대개 비금융 계열사의 자금 마련을 위해 담보로 제출됐다. 실제로 김 회장 등 특수관계인의 동부화재 지분율은 5.6%에 불과하다.

 

동부화재와 동부저축은행은 금융부문과 비금융부문의 연결점인 동부캐피탈 지분을 각 10%씩 갖고 있다. 김준기 회장 입장에선 이들 지분투자액을 포기하고 손실 처리하면 비금융 계열사와의 고리는 끊어진다. 문제는 동부증권과 동부저축은행의 안정성이다. 현재까지 이들 금융회사는 지표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문제는 동부그룹도 이전 동양그룹과 유사하게 그룹 비금융 계열사들의 회사채를 계열인 동부증권을 통해 팔았을 가능성이다. 비금융 계열사의 신용등급이 좋지 않아 계열 증권사밖에 없었다고 보는 게 맞다. 동양증권 사태 때와 다를 것이 하나도 없다. 금융감독당국이 동부증권이 판 계열사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을 산 고객의 동요를 막기 위해 동양 때와는 다른 잣대로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도 여기에 있다.

동부저축은행도 상황이 녹록하다고 보기 어렵다. 저축은행업계 전체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지속하면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 반기 대비 자산이 16% 넘게 줄었다. 11억 원의 적자를 냈고, 자기자본도 같은 기준으로 3% 정도 줄었다. 비금융 계열사의 연쇄 붕괴로 만들 파도의 높이에 따라 간접 파를 맞을 금융 계열사도 안전을 100% 확신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지금 현재 동부증권과 동부저축은행에 미칠 파장이 얼마나 될지는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 최소한 지분 구조상으로는 단절된 만큼 정확히는 지금부터가 더 중요할지도 모른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의 동요가 커지면 법률적 단절은 단절의 의미가 급격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죽을 것을 알면서도 쥐들은 떼 지어 배에서 뛰어내리려 할 수 있다.

금융시장의 투자자들은 동부그룹의 직원들이 아니라는 점을 김준기 회장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