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서울 집 사는데 14년 걸려…지난해 주거비 부담 급증

  • 2022.12.21(수) 06:00

국토부, 2021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자가 줄고 임차 늘고…자가 보유·점유율은 제자리
전국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IR) 6.7배…수도권 10배

지난해 서울에 있는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연소득을 14년간 모아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에 집값이 급등하면서 주거비 부담 역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자가 보유율 등 주거 안정 수치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제자리걸음에 그쳤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문재인 정권 말 PIR 급상승…임차 부담은 줄어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전국 5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 주거 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 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표본 조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주거비 부담은 전년에 비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전국 기준 6.7배(중위수)로 전년 5.5배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문재인 정권 초기에는 PIR이 5배 중반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에 크게 올랐다.

서울 역시 PIR이 14.1배로 전년(12.5배)보다 주거 부담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14년을 모아야 서울에서 집을 살 수 있다는 얘기다. 이밖에 수도권이 10.1배, 광역시 등은 7.1배, 도 지역은 4.2배 등으로 모든 지역에서 PIR이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

반면 임차 가구의 부담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RIR·Rent Income Ratio)은 전국 기준 15.7%(중위수 기준)로 전년(16.6%)보다 감소했다.

또 수도권은 17.8%, 광역시 14.4%, 도 지역 12.6%로 각각 전년보다 임차 부담이 줄었다. 다만 서울의 경우 21.3%에서 21.6%로 되레 늘었다.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는 데 소요된 연수는 7.7년으로 전년(7.7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안정성은 '제자리'…"청년 내 집 마련 지원 필요"

주거 안정성은 전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전국에서 자가를 보유한 가구(자가보유율)는 지난해 60.6%를 기록하며 전년(60.6%)과 동일한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 문재인 정권 첫해인 2017년(61.1%)과 비교하면 되레 줄어든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같은 기간 53%에서 54.7%로 상승했고, 광역시(62.2%→62.0%)와 도 지역(71.4%→69.0%)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

자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를 의미하는 자가점유율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자가점유율은 57.3%로 전년(57.9%)보다 소폭 줄었다. 수도권(51.3%)은 전년(49.8%) 대비 상승했고 광역시(60.1%→58.6%)와 도 지역(69.2%→65.9%)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주택 점유 형태를 보면 자가 가구는 줄고 임차 가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가 비율은 57.3%로 전년(57.9%)보다 줄었다. 반면 임차 가구는 39%로 전년(38.2%)보다 증가했다.

이밖에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 기간은 7.5년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 가구 중 37.2%다. 자가 가구는 19.6%, 임차 가구(전세)는 61.4%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택보유의식은 88.9%로 전체 가구 중 대부분이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년(87.7%)보다 증가했다.

특히 청년 가구의 경우 주택보유의식이 81.4%로 전년 2.9%포인트가량 늘었는데 자가보유율은 13.8% 수준으로 낮아 내 집 마련 지원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