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CEO&]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의 ‘그릇’

  • 2014.12.03(수) 10:33

‘경제를 보는 스마트한 눈’ 비즈니스워치가 SBS CNBC ‘백브리핑 시시각각’ 프로그램을 통해 각계 최고경영자(CEO)의 소식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교보생명이 우리은행 입찰을 포기하면서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에 대한 그릇론이 나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본 기사는 콘텐츠 제휴를 통해 비즈니스워치 홈페이지와 SBS CNBC 방송 공동으로 제공됩니다.[편집자]

 


<앵커>
교보생명이 우리은행 입찰을 포기했습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의 10년 숙원인 교보은행의 꿈은 또다시 물거품으로 돌아갔다고 봐야겠죠. 이런 와중에 신 회장에 대한 ‘그릇론’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얘긴지 온라인 경제전문매체  김춘동 기자 연결합니다. 김 기자, 신창재 회장 말이죠. 대한민국 사람이 다 알 정도로 우리은행에 대한 인수 의지를 강하게 피력해왔었잖아요. 그런데 정작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이유가 뭐랍니까? 진짜 너무 궁금하네요.
 
<기자>
교보생명 측은 해외 공동투자자 및 컨설팅사와 논의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고 포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투자자 모집이 여의치 않았다는 얘긴데요. 여기에다 금융위원회의 부정적인 의중이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금융위는 신창재 회장 개인이 대주주로 있는 교보생명은 우리은행의 주인으로 적절치 않다는 견해를 직간접으로 교보생명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국내 대표 은행을 개인 대주주에게 넘기는 데 따른 특혜 시비 등 정치적인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인수할 돈도 인수 후에 투자할 돈도 문제가 된 것 아니냐는 판단 같아 보이는데요?

<기자>
정확하게 알긴 어려운데요. 그렇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자, 다른 얘기 좀 물어보죠. 교보생명은 과거에도 M&A 도중에 발을 빼거나 말을 바꾼 경력이 있다죠?

<기자>
이리저리 입질만 하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중도에 포기한 사례가 있는데요. 2011년 우리금융 민영화 당시에도 중간에 발을 뺐고, KB금융과도 M&A 논의가 있었는데 성사되지 못했습니다. 물론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교보생명의 책임만으로 돌리기도 어려운데요.

그런데도 교보생명은 꽤 상처를 입었습니다. M&A 시장에서 못 믿을 회사로 알려지게 된 건데요. 우리은행 건 역시 신창재 회장이 이례적으로 직접 나서서 인수 의사를 표시하면서 입찰 참여를 기정사실로 했는데요. 결국 불참으로 결론나면서 또다시 양치기 소년이 되고 말았습니다.

<앵커>
그런 전력이라, 알겠습니다. 어쨌든, 정부가 부정적인 의사를 표시하긴 했지만, '신창재 회장의 의지가 약했던 게 아니냐'는 시장의 평가도 나온다죠? 그 얘기도 좀 해주시죠.

<기자>
신 회장에게 은행업 진출은 10년 숙원입니다. 종합금융그룹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유일무이한 대안이기 때문인데요. 그런 만큼 이번이 절호의 기회였습니다. 다른 경쟁자가 없고, 분위기도 그렇게 나쁘지 않았습니다. 성장의 한계에 달한 국내 은행산업에 뭔가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렸는데요.

하지만 거기까지였습니다. 금융위 입장에선 처음 가는 길이다 보니 당연히 선뜻 발을 내딛기 어려웠는데요.

<앵커>
금융이 전통적인 규제산업이다 보니 더 그렇겠죠?

<기자>
맞습니다. 그런데 신 회장은 상황을 바꾸려고 하기보단 가만히 기다리기만 했습니다. 그러다가 금융위가 부정적인 시그널을 보내면서 사실상 게임이 끝나게 된 겁니다.

신 회장은 올 초 이루고자 하는 뜻이 있으면 반드시 성공한다는 사자성어인 유지경성(有志竟成)을 신년 화두로 제시했는데요. 시장에선 신 회장의 뜻이 너무 약하지 않았나 이런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신 회장에 대한 그릇론이 나온다죠? 신창재 회장의 그릇론 좀 더 풀어주시면 좋을 듯합니다.

<기자>
신 회장은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신용호 전 명예회장으로부터 교보생명을 물려받았습니다. 회장에 오른 후 교보생명을 견실하게 키워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반면 M&A를 비롯해 성장전략엔 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꼼꼼한 위험관리로 큰 무리 없이 교보생명을 이끌어오긴 했는데 선택의 순간에 결정적인 한 방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의학도 출신인 데다 꼼꼼하고 원칙을 중요시하는 개인적인 성향에서 그 원인을 찾기도 하는데요.

시장에선 결국 신 회장이 은행과 보험을 아우르는 초대형 금융그룹의 주인이 될 야망과 도전 의지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김 기자, 이런 질문은 좀 어떨까요? 금융위가 재차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에 나설 가능성도 있는데요. 신 회장, 다시 기회를 잡을 수 있을까요?

<기자>
교보생명은 우리은행 인수 백지화가 아닌 유보라는 표현으로 미련을 남겨 두긴 했는데요. 교보은행은 여전히 쉽지 않아 보입니다. 우선 금융위가 네 번이나 실패한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에 재차 나설지가 의문입니다.

설령 다섯 번째 민영화에 나선다고 해도 이번과 같은 어정쩡한 태도론 똑 같은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데요. 신 회장이 정말 은행업에 의지가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분위기와 상황을 만들어가는 사전정지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사전정지 작업' 꽤 와닿는 단어같습니다. 김 기자, 잘 들었습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