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이 올해 협력사들에게 총 1조7330억원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보다 2.9% 늘어난 수치다. 협력사들의 성장이 대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작용하면서 이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25일 '30대 그룹 협력사 지원 실적 및 계획' 조사를 통해 30대 그룹이 올해 협력사들에게 총 1조733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조6844억원과 비교하면 2.9% 늘었고, 2011년이후 연평균 3.2%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기술혁신 분야가 768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내외 마케팅 지원 6651억원, 보증대출 지원 2546억원, 인력양성 지원 451억원으로 나타났다.
협력센터는 30대 그룹이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협력사와 공동 기술개발을 늘리고, 경기부진에 대응해 협력사 판촉활동 지원을 강화하면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지원 실적과 비교해 올해 증가율이 높은 분야는 ▲해외판로개척 지원(14.6%) ▲보증대출 지원(10.6%) ▲인력양성(4.9%) ▲판매·구매 지원(2.8%) ▲R&D 지원(0.8%) 등의 순이었다.
배명한 협력센터 소장은 "대기업이 생산하는 완성품이 고도화되면서 협력사의 기술·경영 혁신 역량 제고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협력사에 대한 지원은 계속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음은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소개한 주요 대기업 협력사 지원사례
#1. 삼성전자 사례 : 협력사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맞춤형 지원
삼성전자는 2011년부터 잠재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혁신의지가 강한 기업을 강소기업 후보사로 선정하고, 각 사업분야에서 세계 5위, 국내 2위 이내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금·기술·인력 등을 종합적으로 맞춤 지원하고 있다. 2013년 14개, 2014년 10개사에 이어, 올해는 13개사를 ‘2015년 올해의 강소기업’으로 선정해 현재까지 37개사를 선정했으며 올해 말까지 총 50개 강소기업을 선정,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2. 현대자동차 사례 : 2차 협력사까지 동반성장 확대 노력
2012년도 국내 대기업 최초로 협력사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채용박람회를 개최한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원·부자재 및 설비부문 협력사까지 참여 대상기업을 확대해 2014년에는 1차 협력사 371사가 1만7510명의 인원을 채용하는데 기여했다. 더불어 1차 협력사에만 제공되던 동반성장펀드와 상생금형설비펀드를 2차 협력사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1·2차 협력사 간 거래관행 개선을 위해 1차 협력사 300여사와 2차 협력사 5000여사가 동반성장협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하는 등 2차 협력사까지 동반성장이 확산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3. SK텔레콤 사례 : 협력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SK텔레콤은 각종 시설·공간 부족으로 기술개발에 애로를 겪고 있는 협력사를 도와주기 위해 2012년에는 계측기, 시험장비, 프로젝트 공간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T Open Lab’을 개설해 지난해 협력사에 42억원 정도를 지원하였고, 2013년부터는‘T Open Lab’공모전을 시행하여 우수과제에 대한 사업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4. LG전자 사례 : 협력사 차세대 기술역량 강화 지원
LG전자는 지난해 부품 및 장비 국산화에만 2500억원을 지원하였고, 협력사의 지속적 발전과 경쟁력 확보의 원동력이 되는 기술이전 및 지원을 통해 협력사 차세대 기술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5. 롯데백화점 사례 : 중기 우수제품 발굴 지원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10월‘글로벌 생활명품 육성 프로젝트 출범식’을 갖고 협력사 우수제품 발굴과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중소기업이 출품한 품목에 대해 유통 및 산업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채택된 제품에 대해서는 제품 특성에 맞게 맞춤화된 지원계획을 통해 국내유통 및 해외 판로까지 도와주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