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조선업 인력싸움 누구 잘못일까 봤더니…

  • 2022.08.29(월) 15:18

학계전문가가 본 조선3사 공정위 제소 이슈
'인력 빼가기' 보다 '업계 인력난'이 근본원인
불황기 구조조정이 화근·자동화 시스템 도입해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이 한국조선해양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국조선해양이 핵심 인력을 부당하게 빼갔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한국조선해양은 "통상적인 공개 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을 뿐, 부당하게 인력을 빼 온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학계 전문가들은 문제의 본질이 '조선업 인력 부족'이라고 진단했다. 조선 3사의 6월말 기준 인력은 3만7215명으로 2017년말 대비(4만4344명) 19.2% 감소했다. 호황기에 진입하면서 일감은 많아졌지만 일손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조선업계가 당면한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김영훈 경남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 교수와 이동건 목포해양대 교수의 의견을 들어봤다.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이 한국조선해양을 공정위에 제소 검토 중인데 어떻게 보나

▲ (김영훈 교수)본질적인 것은 인력감소에 있다. 현재 많은 언론에서 다뤘듯 조선업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임금 매력도가 떨어진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조선소 노동자들이 더 좋은 조건에 일자리를 옮기는 것을 말릴 수 없는 상황이다. 산업 생태계 상 인력이 왔다 갔다하는 게 잘못된 것은 아니다. 

▲ (이동건 교수)최근에 한국조선해양이 다른 조선사들에 비해 적극적으로 채용을 진행 중이다. 아무래도 경력직 채용의 경우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직원들이 많이 지원했을 것으로 본다. 그렇다고 한국조선해양이 (다른 조선사들의 주장처럼) 불법적인 과정을 통해 채용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결국 조선소가 겪는 인력난이 현재 문제로 이어졌다. 

-현재 인력난을 계기로 조선 3사 간 감정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이 문제가 더 번질 것으로 보나

▲ (김 교수)과거 부당한(부당 유인 행위로 볼 여지가 있는) 인력 확보는 하지 말기로 업계 간 암묵적인 합의을 맺었다. 하지만 지금 당장 일손이 부족하다보니 잘 지켜지지 않는 거 같다. 

현재 상황을 보면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식이다. 예를 들어 한국조선해양이 더 좋은 조건으로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인력을 데려온다고 하자. 그러면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은 다시 중소 조선사들의 인력을 데려올 수 밖에 없다.

결국 중소 조선사들이 어려움에 빠지고, 조선업 생태계 악화로 이어진다. 서로 폭탄을 돌리고 있는 것밖에 안된다. 업계에서 자제하지 않으면 고용 불균형 흐름을 막긴 어려울 것이다. 산업 현장 밖에서 인력을 데려올 생각을 해야 한다. 

▲ (이 교수)조선사 간 인력 문제로 공정위에 제소하려는 사례는 처음이다. 젊은층의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어야 근본문제가 해결된다. 인력난을 겪는 상황에서 이 문제가 장기화하면 (인력 유출 문제가 심화되면서) 조선산업 생태계 전체에 악영향을 준다.

- 조선업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결국 노동자들이 조선소를 떠나 다른 직업을 택하고 있단 얘기다. 다른 산업에 비해 조선업 임금 수준이 낮아서 그런가

▲ (김 교수)맞다. 다른 산업 대비 임금이 많이 낮다. 2010년대 불황시기 때 조선사들이 어려워진 탓이다. 임금 인상은 꼭 필요하다.

하지만 당장의 임금 인상은 현실적으로 힘들다. 조선업이 호황기에 진입한 상황이지만 현재 건조 중인 선박은 2~3년 전 저가 수주한 선박이다. 지금 호황이 당장의 실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임금을 올리는 것은 꼭 필요하지만 (임금 인상) 시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 (이 교수)인력난을 생산직, 연구직으로 나눠서 볼 필요가 있다. 생산직의 경우 외국인 채용을 통해 어떻게든 인력을 충원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직은 외국인 채용이 불가능하다. 엔지니어 인력들을 열심히 육성하면 (타 산업군이나 다른 조선사)로 다 도망간다.

원인은 임금에 있다. 불황을 겪는 동안 월급이 오르지 않았고 인력을 데려올만한 유인책이 사라졌다. 하지만 그렇다고 (조선사들이) 바로 임금을 올리긴 어렵다. 조선업이 호황기에 진입했다곤 하지만 실적이 좋아지기 위해선 1~2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장기적 해결책은 무엇인가

▲ (김 교수)생산공정의 스마트화가 필수적이다. 더 이상 인력에 의존하는 생산공정 시스템보다 자동화 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단순히 인력난 해소뿐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중국과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 물론 인력 부족 상황에서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선 정부 정책 지원도 필요하다. 선박 수주 프로젝트가 과거에 비해 점점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혼자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효율적이고 효과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검토해야 한다. 여기에 산업계와 학계도 동참하면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롱런(long-run)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교수)그동안 조선사들은 R&D(연구개발) 위주 투자를 하면서 조선산업이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인구 문제를 생각하면서 투자를 진행해야 할 때다.

조선 산업이 호황기였던 시절, 전문대를 포함해 전국에 40개가 넘던 조선업 관련 학과가 있었다. 현재는 국립대 위주로 12개만 남았다. 대학생들 사이에서 '조선소는 (경영환경이) 어려워지면 직원들을 다 정리하는구나'라는 인식에 인기가 사라졌다.

최근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업과 대학이 손잡고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있다. 조선업 관련 기업들도 우수 인재들을 데려오기 위해 계약학과 신설을 검토해야 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