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CEO씽킹맵]과감한 투자 이끈 김승연 회장의 전략

  • 2023.01.11(수) 06:40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신성장동력 확보
사업구조 개편 통해 승계구도 구상 중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

2023년은 영특한 토끼의 특성과 지혜를 상징하는 검은색이 조화를 이룬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다. 하지만 우리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은 녹록지 않다. 국가 간 갈등은 장기화되고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저성장 등 여러 경제위기 요인도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대기업집단 총수들은 '토영삼굴(兎營三窟)'의 지혜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렸다. 최고경영자(CEO)들의 경영 과제와 판단의 방향을 신년사 등에서 엿보이는 열쇳말과 함께 들여다봤다.[편집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한화에 황금기를 안긴 인물이다. 김 회장이 한화를 이끄는 동안 한화그룹 계열사는 19개에서 92개로 늘었다. 그룹 총자산 역시 7548억원 수준에서 80조원으로 증가했다. 더 먼 미래를 바라보는 김 회장에게도 고민거리가 있다. 최근 인수한 대우조선해양을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과 그룹 승계 문제다.

사업 포트폴리오 '지속가능성'

김 회장은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대우조선해양 인수는 국가를 대표하는 사업을 키운다는 책임감을 갖고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을 이끄는 글로벌 메이저 사업으로 키워나갑시다"라며 "어려운 때일수록 내실을 다지면서도 미래 성장동력과 핵심역량 확보를 위해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오직 한화만 할 수 있고 한화가 해야만 하는 지속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현재와 미래를 이끌어 나갑시다"라고 밝혔다.

김 회장이 신년사에서 말한 '과감한 투자'는 M&A(인수·합병)다. 지난해 12월 한화는 대우조선해양을 2조원에 인수하는 본계약을 체결했다.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통해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내고 신년사에서 말한 '지속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는 생각이다.

한화가 심각한 경영난을 겪던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나선 배경엔 김 회장의 '경험'이 있다. 여태껏 한화는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해왔다. 김 회장은 1981년 29살의 나이로 회장 자리에 오른 이듬해 한양화학과 한국다우케미컬을 인수했고, 두 회사는 한화 성장에 있어 핵심 역할을 했다. 이들은 현재 한화의 핵심 계열사인 한화솔루션이 됐다.

한화의 미래 성장동력인 태양광과 방산 사업도 인수·합병을 통해 일궈냈다. 한화솔루션은 2010년 중국 태양광 모듈 생산업체 '솔라펀파워홀딩스'를 인수했다. 2012년엔 유럽과 북미 지역 태양광 시장 1위였던 독일의 큐셀(Q-Cell)이 파산신청을 했고, 이를 사들여 '한화큐셀'로 탈바꿈시켰다. 한화의 태양광 사업은 최근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과 맞물려 '효자사업'으로 거듭났다.

2014년에는 삼성그룹의 방산 및 화학사 4곳(삼성테크윈·삼성탈레스·삼성종합화학·삼성토탈)을 2조원에 인수해 방산과 화학 부문 경쟁력을 키웠다. 한화의 현재와 미래를 모두 인수·합병으로 이뤄낸 셈이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

김 회장은 대우조선해양이 기존 한화의 사업들과 시너지를 통해 미래 지속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화에서 방산 사업을 담당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육상과 항공, 우주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함정과 잠수함, 쇄빙선 등 특수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육·해·공 모두 아우를수 있는 방산업체가 되겠다는 계산이다.

에너지 분야에서도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화는 현재 미국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해 발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한 LNG 해상생산기술(FLNG)을 접목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재무상태 개선이다. 대우조선해양은 2021년 1조7546억원의 적자를 냈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누적 1조197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3분기 연결 기준 1291%에 달한다.

인력 문제도 있다. 현재 국내 조선업계는 경기침체로 인한 저임금 구조 고착화와 주 52시간 근무제 등으로 인력이탈이 대거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 수는 2014년 말 1만3192명에서 지난해 3분기 8376명까지 감소했다. 최근 수주 호황에 힘입어 일감은 확보했지만 일할 사람이 없는 상태다.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앞서 김 회장에겐 14년이란 숙고의 시간이 있었다. 2008년에도 한화그룹은 인수를 추진했지만, 당시엔 실패한 바 있다. 그런데도 'M&A전문가' 김 회장이 다시 한번 인수에 나섰다는 건 성공한다는 확신이 있었다는 얘기다. 김 회장이 대우조선해양을 다시 본 궤도에 올리고, 한화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는 이유다.

넥스트를 위한 '승계' 작업

김 회장이 한화그룹 총수 자리에 오른 지도 40년이 넘었다. '김승연 시대' 이후를 구체적으로 구상해야 할 시기다. 김 회장도 서서히 후계자들을 경영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했다. 한화의 후계구도는 어느 정도 가닥이 잡혀 있다. 장남인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방산 및 에너지 등 그룹 내 주력 사업을, 차남인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이 금융을, 삼남인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무가 호텔과 리조트·백화점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한화그룹 지배구조 /그래픽=비즈니스워치

김 회장이 핵심 후계자로 점찍은 인물은 김동관 부회장이다. 김 부회장은 작년 10월 한화솔루션 대표이사로 선임되면서 경영 보폭을 넓힌 데 이어 지난해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한화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전략부문 대표이사직까지 추가로 맡게 됐다.

김 회장은 김 부회장을 승진시키기 앞서 그룹의 방산 사업을 통합하는 사업구조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해 7월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임팩트 등 세 회사에 흩어져 됐던 방산사업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통합했다. 김 부회장이 그룹 핵심 사업부를 총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업계에서는 한화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김 부회장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인수로 시너지를 기대하는 분야가 김 부회장이 전담하고 있는 방산과 에너지 사업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이번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참여한 한화 계열사 6곳 중 가장 많은 자금(1조원)을 투입하기도 했다.

다만 태양광과 방산 부문에서 두각을 드러낸 장남과 달리 차남과 삼남이 아직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점은 김 회장에게 고민거리다.

차남인 김 부사장은 2014년 한화생명 디지털팀장으로 합류한 이후 해외 사업과 신사업을 맡으며 한화그룹 금융계열사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한화생명은 작년까지 비금융계열사가 가진 한화투자증권 지분을 모두 인수하며 복잡한 지배구조를 정리했다.

그룹 차원에서 힘을 실어주고 있지만, 아직 내세울 만한 결과물은 없다. 특히 김 부사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1호 디지털 손해보험사인 캐롯손해보험이 출범 이래 지속되는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은 치명적이다.

삼남인 김 전무도 유통 부문 승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승계 기반을 마련했다. 한화솔루션 갤러리아 부문은 지난해 11월 전략본부·영업본부·상품본부 등 3개 본부 체제로 조직을 재편성했다. 이와 함께 신사업전략실을 전략본부로 통합하고 김 전무가 전략본부의 본부장을 맡았다.

여기에 더해 올 3월엔 한화솔루션 갤러리아 부문이 인적분할을 통해 한화갤러리아(가칭)로 독립한다. 이후 한화갤러리아는 별도 법인으로 ㈜한화의 자회사가 된다. 김 부회장의 한화솔루션과 김 전무가 맡은 갤러리아를 분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경영 기반이 마련되면서 향후 갤러리아는 김 전무의 경영 능력을 시험할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