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재테크 재설계] ①고령화·저성장의 수렁

  • 2013.05.30(목) 16:13

90년대 일본과 유사.."구조적 문제 더 심각하다" 우려

"이자수익으로 노년을 보내는 시기는 이미 지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고객들은 금리가 10%에 육박했던 때를 그리워하죠. 기관투자가들 역시 마찬가집니다. 금리가 결국 다시 오르겠지 하는 믿음을  버리지 못하면서 과감한 포트폴리오 변경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만나 본 증권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얘기다.

 

금융위기 이후 출현한 '뉴노멀(New Normal)'은 불과 몇년 사이 아주 '노멀한' 단어가 됐다. 저성장과 저금리, 고령화는 현재진행형이다. 한국은 이제 막 저성장·저금리의 늪에 빠져들었다. 초입부 모습은 일본과 상당히 흡사하다. 더 큰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일본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을 반면교사 삼아 투자계획을 다시 짜야한다.

 

◇저성장·저금리의 늪..이제 막 발 담가

 

그동안 고령화하면 대부분 일본을 떠올렸다. 젊은이보다 노인이 많은 활력없는 국가. 생각만 해도 암담하다. 그러나 머잖아 일본을 능가할 국가가 있으니 중국, 인도도 아닌 바로 한국이다.

 

한국은 전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로 평가된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 3704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하면서 2060년에는 2187만명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인구 비중으로 따지면 70%를 웃돌다 50% 미만으로 급감하는 구조다. 고령화 대표 국가로 낙인 찍힌 일본을 대체하는 것도 시간문제인 셈이다.

 

고령화는 결국 성장률 저하로 이어진다.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낮아지면서 2030년 이후에는 1.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한국은 2% 성장에 그쳤고 지난해 3분기는 전기대비 성장을 전혀 하지 못했다(0% 성장).

 

▲한국 GDP성장률・기준금리・국고채 10년물 금리 추이(출처:한국은행,KDB산업은행)

 

◇ 일본에 투영된 한국의 미래..저수익률 굴레 가시화

 

한국의 상황은 실제 1990년 일본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동산 버블이 붕괴됐던 1990년 당시 일본의 고령화 비율은 12.08%였고 한국은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에 비슷한 비율에 도달했다. 상승각도도 거의 유사해 4년 뒤인 지난해 상황은 일본의 1994년과 중첩된다.

▲출처:LG경제연구원

당시부터 일본은 성장률이 하락하고 디플레이션이 엄습하면서 시장 금리가 꾸준히 하락했다. 제로금리로 대표되는 일본 금융시장이지만 1990년만해도 일본 10년 국채금리는 8%대에 달했다.

 

한국 역시 2008년 당시 6%를 넘나들던 금리는 2% 안팎으로 쪼그라들었다. 경기가 회복되면 금리가 다시 오를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경제성장률 자체가 줄어들면서 금리 오름폭은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저성장에 따른 저금리 시대가 개막된 것이다.

 

이는 채권뿐 아니라 주식시장의 기대수익률 축소라는 이중고로 이어지고 있다. 각종 산업들 역시 성장속도가 떨어지고 기업들은 소비부진 여파를 겪고 있다. 기업투자 역시 꺼리면서 악순환이 반복된다. 저성장 구조에서는 주식시장 역시 변동성이 줄고 수익을 얻을 기회가 그만큼 줄어든다. 2000년대 중반의 화려한 날이 영원히 오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 갈수록 더 암울..일본 추월도 시간문제

 

시간이 갈수록 한국이 일본보다 심각해질 것이란 경고의 목소리도 많다. 고령화와 생산가능 인구감소 속도가 더 빠르고 근로시간도 하락 여지가 더 크다는 것이다.

 

일본의 65세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년간 연평균 0.5%포인트씩 높아졌지만 한국의 경우 두배를 웃도는 1.1%포인트의 연평균 증가율이 예상되고 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 속도도 일본의 두배 가량을 웃돌 전망이다. 근로시간 감소속도는 일본과 비슷하지만 한국의 경우 일본보다 근로시간 자체가 훨씬 길다보니 추가적인 하락 여지가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일본의 저성장 진입기와 유사한 상황들이 많다보니 한국의 일본형 장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노동투입 측면에서는 과거 일본보다 더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