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사외이사는 로비스트?..4명중 1명꼴 권력기관 출신

  • 2014.01.22(수) 15:27

[사외이사 건전성 진단·下]
작년 대기업 사외이사 459명 중 118명 권력기관 경력
사법·행정 공무원 1순위..대주주 견제보다 `다리 역할` 우려

롯데그룹은 지난해 9명의 사외이사를 신규 선임했다. 이중 5명은 권력기관 출신이다. 박차석 대전지방 국세청장·강대형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롯데제과), 서현수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장(롯데케미칼), 임삼진 대통령실 비서관·백명현 금감원 법무실 팀장(롯데쇼핑) 등 권력기관 출신이 사외이사로 대거 포진됐다. 재선임 사외이사까지 포함하면 권력기관 출신은 60%(8명)가 넘는다. 롯데그룹은 박근혜 정부들어서 고강도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

22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과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를 선임한 대규모 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 가운데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는 118명(25%, 경력 중복 포함)에 이르렀다. 사외이사 4명 중 1명은 권력기관 출신인 셈이다.

권력기관 중 가장 많은 사외이사를 ‘배출’한 기관은 사법·행정 공무원이었다. 이귀남(GS)·김성호(CJ) 법무부 장관, 주선회(CJ헬로비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 지난해 새로 선임된 고위직을 포함 총 45명이 사법·행정 공무원 출신이었다.

국세청·관세청은 그다음이다. 국세청장(5명), 관세청장(1명), 지방 국세청장(10명) 등 총 22명이 대기업 사외이사로 있다. 특히 CJ·신세계·롯데·현대차그룹은 각 3명씩을 국세청·관세청 출신으로 기용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청와대(14명), 재정경제부(12명), 공정거래위원회(9명), 감사원(9명), 장관(7명), 금융감독원(7명) 등 출신 사외이사가 지난해 새로 선임됐거나, 기존 임기가 연장됐다.

주요 그룹별로는 신세계와 CJ가 8명으로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를 가장 많이 기용했다. 롯데(7명), 현대차(7명), 두산(7명), 삼성(6명), SK(6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제는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가 ‘대주주 견제’라는 본연의 임무를 뒤로 한 채, 정부기관과 기업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법조인 출신을 사외이사로 선임한 69개 회사 가운데 현재 소송이 진행중인 기업은 54개(78.3%)였고,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 출신이 사외이사로 있는 15개 기업 중 금융당국으로부터 제재조치를 받거나 소송이 계류 중인 곳은 8곳에 이르렀다.

박세연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연구원은 “대개 회사가 시장의 공정거래질서를 저해해 금융당국의 반복적인 제재가 이뤄지면,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고위 공직자를 선임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