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대체투자 대세]①저금리 속 폭풍성장

  • 2015.09.01(화) 10:14

연간 10%대 성장세..국내외 연기금 '군침'
수익률+분산투자 효과...정부지원도 한몫

저금리 시대가 지속되면서 대체투자가 갈수록 세를 넓혀가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투자비중이 늘고 있고 국내 역시 기관 투자가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시 선택에서 필수로 자리잡아 가는 모습이다. 그러나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생소한 영역인 만큼 투자 결정이 쉽지 않고 잘 골라 투자해야 한다. 매력적인 수익만큼 리스크가 되레 더 커질 수도 있다.[편집자]

 

대체투자는 말 그대로 주식이나 채권 등 전통적인 자산을 '대체'할 수 있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대체투자 자산은 부동산이지만 최근에는 사모펀드(PE)는 물론 원자재부터 인프라 투자까지 투자 분야가 무궁무진해지고 있다. 투자전략을 전통적인 방법과 달리하는 것도 넓게는 대체투자에 속한다.

 

대체투자는 주식과 채권 등 주로 투자하는 자산 외에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덤으로, 소규모로 이뤄진 경우가 많았지만 점차 비중도 확대되고 전통자산을 넘어서는 쏠쏠한 수익률을 안기고 있다. 투자 매력에 더해 최근에는 정책 지원까지 더해지며 인기를 더할 전망이다.

 

◇ 폭풍성장...미래 더 밝다

 

대체투자 시장은 글로벌 전반에서 매년 폭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2013년 글로벌 대체투자자산은 7조2000억달러(약 3200조원)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대체투자는 금융위기 전까지 비중이 꾸준히 늘다 위기 이후 규모가 급감했지만 최근까지 꾸준히 빠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 이후 전통투자 운용자산(AUM)의 연간 성장률은 5.4%였지만 대체투자는 2배에 해당하는 10.7%를 기록했다. 

 

이런 성장세 뒤에는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의 적극적인 투자확대가 있다. 글로벌 연기금은 이미 대체투자 자산 비중이 전체 투자의 4분의 1 수준까지 늘어났다.  스위스와 미국, 선진국들은 20~30%선에 달한다. 국민연금도 10%까지 높아졌다.

 

특히 이들은 앞으로도 꾸준히 대체투자를 확대할 예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공경신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대형과 소형 연기금, 국부펀드, 부유한 개인들로부터의 자금 유입이 향후 5년간 연간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 글로벌 대체투자 성장 추이(출처:자본시장연구원)

 

◇ 수익률 높이고, 분산효과 대체

 

국내 역시 대체투자에 점점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전통적인 투자자산 시장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이 현저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투자 다변화를 위해 올해말부터 헤지펀드에 투자하기로 하는 등 해외 및 대체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다.

 

저금리 외에도 과거처럼 채권과 주식의 역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것도 대체투자 필요성을 높였다. 대개 주식과 채권값은 반대로 움직여 대체투자 효과가 높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이런 역의 상관관계가 붕괴됐다는 분석이다.

 

결국 전통적인 투자자산과 수익률 상관관계가 낮은 대체투자 자산이 분산효과를 대체하는 것이다.

 

김은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저금리 장기화에 이어 전통적인 자산간 분산효과가 감소하면서 대체투자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수익률 제고뿐 아니라 자산 분산과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서도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설명했다.

 

◇ 정부도 팔 걷었다

 

정부가 올해 하반기에 해외 투자 및 경제활성화 정책 마련과 함께 투자활성화 정책을 마련한 것도 대체투자 성장에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부는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에서 일정금액 미만의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해 단순신고제로 개편했고 사모펀드에 금융기관의 출자제한도 완화했다. 사모펀드 활성화 방안에서는 토종 사모펀드들이 받는 역차별이 최소화돼 국내 사모펀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프라 투자 역시 최소운용수입보장제도(MRG)가 단계적으로 폐지되면서 국내 투자가 주춤했지만 올해 인프라 투자 촉진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한국인프라투자플랫폼 구축을 결정해 인프라 투자가 이전보다 활성화될지 주목된다. 정부는 구체적인 운용형태와 투자대상을 올해 안에 구체화해 양해각서를 체결할 계획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