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경제 서비스가 다양해 지고 있다.
공유 경제(Sharing Economy)는 한 번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를 여러 사람이 공유해 쓰는 협업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용어로, 쉽게 말해 '나눠쓰기' 운동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에어비앤비', '타다' 등의 장소나 교통수단 공유에서 시작해 현재는 '공유오피스', '공유 거점' 등으로 번져나가고 있다.
무거운짐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모르는(친분이 없는)상점에 짐을 맡기고 싶어도 '맡아줄까?' 라는 고민 먼저 앞선 경험이 있을것이다.
지하철내 물품보관함 이용도 한계가 있고 거리도 멀어 불편한 경험을 공유경제의 순기능으로 해결한 서비스가 있다.
바로 '럭스테이(LugStay)'다. 상점의 여유 공간을 통해 물품 보관/전달/배송이 가능한 국내 최초 실시간 상점 공간 공유 물류 플랫폼이다.
럭스테이를 통해 고객은 여행, 출장, 쇼핑, 데이트, 여가활동 등의 일상 생활에서 주변의 가까운 상점을 이용해 손쉽게 물품을 보관/전달/배송할 수 있다. 상점주는 물품보관 수익 획득뿐만 아니라 방문객 증대를 통한 매장 홍보와 신규 고객 창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니즈 때문에 럭스테이의 가맹 상점수는 2020년 4분기 기준 500개 상점에서 2021년 1분기 기준 1300개 상점으로 두 배 이상 급격히 늘고 있다. 또한 럭스테이는 중고물품 거래나 택배 수령을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비대면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활용도가 늘고 있다.
럭스테이 이재건 이사는 "상점주들의 여유 공간을 손쉽게 공유하여 추가 수익 획득과 매장 홍보, 신규 고객 창출까지 돕는 소상공인 상생 서비스로, 앞으로 물품 배송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최근 어려움에 빠진 소상공인들과 상생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향후 계획을 말했다.
또 공유서비스 공간을 제약해 커뮤니티의 편리함을 증대 시킨 공유 경제 서비스 '모빌리'가 있다.
모빌리(MOVILY)는 이동수단을 뜻하는 모빌리티(Mobility)와 빌리지(Village)의 합성어로 아파트 단지 내 입주민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커뮤니티형 카셰어링 서비스다.
픽업과 드랍장소를 '아파트 단지 내'로 제약했기 때문에 얻는 이점은 '우리집 주차장'이다. 차를 빌리기 위한 이동이 필요하지않아서 마치 내 차처럼 주차장에서 바로 이동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딱 필요한 만큼만 빌려쓰는 '10분 단위' 예약으로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의 시작이자 핵심사업였던 공유 킥보드는 이동수단을 넘어 생활 이동수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코로나19로 대중교통, 택시 사용을 기피하면서 활용이 오히려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공유킥보드는 2018년 9월 '킥고잉'을 시작으로 빠르게 성장해 현재 18개 업체가 경쟁 중이다. 업계에서는 서울에만 약 5만대, 전국적으로 7만~8만대의 공유킥보드가 운영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시장이 커지고 사용자가 늘면서 부작용도 생기고 있다.
사회 일각에선 킥보드 이용 행태를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용이 불가한 인도를 빠른 속도로 질주하거나, 지하철역 입구에 킥보드를 버려두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행태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킥보드 관련 민원은 1951건으로 5년 전보다 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국내 도입 3년 만에 안전규제 카드를 빼들었다. 오는 5월 13일부터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시행된다. 개정안에 따라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려면 원동기(125cc 이하 오토바이) 이상 면허가 필요하고, 안전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적발시에는 사안에 따라 20만원 이하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서울시내 공유 자전거인 '따릉이'의 이용자 수와 사업규모가 매년 늘어나면서 사업과 관련된 예산 투입과 자전거 안전 문제 등이 도마위에 올랐다. 특히 적자폭이 1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부 이용자를 위한 과다 적자라는 의견과 성공적인 공공정책이라는 평가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따릉이 사업이 '시민들이 공감하는 서울시 정책순위'에 2017년~2019년 3년 연속 1위에 선정된걸 두고 성공적인 사업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앞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와 예산 효율화 문제 및 안전사고 문제 등은 해결해야 할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