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서울 엑소더스]①감당 안되는 집값, 밖으로…

  • 2018.11.27(화) 10:54

서울 집값 1년새 18% 급등…상승률 최고는 마포
올 들어 서울 인구 유출 지속…경기도는 유입

자의든 타의든 서울을 떠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급등한 집값 영향이 절대적이다. 특히 올들어 서울 집값이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주거비 부담이 급증한 상태다. 서울에 살고 싶어도 집값 부담에 살기 힘든 게 현실이다. 지난 1년간 서울 집값과 인구 이동 현황과 수도권 상황 등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서울 인구가 줄면서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옛 속담이 무색해지고 있다. 그렇다고 의미가 달라진 것은 아니다. 여전히 서울에 살고자 하는 사람은 많다.

하지만 집값 부담이 너무 크다. 연초 강남을 중심으로 집값에 불이 붙더니 이내 서울 전역으로 퍼졌다. 결국 도심에서 외곽으로, 외곽에서 다시 수도권(경기도)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 웬만해선 서울에서 살기 힘들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작년 말과 비교해 17.8% 상승(11월23일 기준)했다. 중랑구(8.9%)를 제외하면 전 지역에서 집값 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예상과 달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아닌 마포구였다. 이 지역은 23.9%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서대문구(22%)와 강동구(21.6%), 성북구(21.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강남3구 중에서는 송파구가 18.5% 올랐고, 서초구와 강남구는 각각 17.4%, 17% 상승했다.

 

 

올들어 집값이 오른 이유는 다양하다. 연초에는 다주택자와 자산가를 중심으로 돈 되는 집 한 채(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지면서 강남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았다.

 

특히 재건축 단지가 주목 받았다. 입지와 학군이 좋아 재건축이 이뤄지면 집값이 지금보다 크게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다. 이 불길은 목동(양천구) 등 재건축 단지가 많은 지역으로 옮겨 붙었다. 이어 교통망이 좋은 마포구와 용산구, 성동구 등도 마‧용‧성으로 불리며 강남 못지않은 집값 상승률을 보였다.

재건축 안전진단 정상화(3월)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4월) 등으로 잡히는 듯 했던 집값은 7월 이후 다시 타올랐다.

여의도‧용산 개발 이슈를 시작으로 이번에는 강북 지역이 집값 상승 중심이 됐다.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강북구와 노원구 등 집값 오름 폭이 크지 않았던 외곽 지역이 상승세를 키웠다.

 

결과적으로 서울에서 집 살 때 필요한 돈도 늘었다. 작년 말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5억5000만원 선이었지만 가장 최근인 10월에는 5억9000만원을 넘어섰다(한국감정원). 서울에서 집 한 채 사려면 적어도 6억원 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 못 버티고…서울 떠난다

가파르게 오른 서울 집값은 주거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무주택자들 입장에서는 은행 대출을 이용해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이전보다 더 많은 돈을 빌려야 하고, 결국 이자 부담이 늘어난다.

집을 늘려 이사하려는 유주택자 역시 자기 집값이 오른 만큼 갈아타려는 주택 가격도 상승해 부담은 여전하다. 결국 학군과 생활 인프라 등을 이유로 서울에 살았던 이들이 서울을 떠나 경기도 등 인근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들어 서울 인구는 매달 감소하고 있다. 서울 1월 인구 순이동(총전입-총전출) 7155명을 시작으로 5월에는 1만1298명, 가장 최근인 9월에는 7961명이 서울을 떠났다. 올들어 누적으로는 7만8584명이다.

반면 경기도는 매달 1만명 이상의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1~9월 경기도로 유입된 인구는 12만7750명으로 조사됐다. 서울을 떠난 인구가 모두 경기도로 갔다고 볼 수는 없지만 서울 순이동 인구 감소와 경기도의 증가는 시사하는 점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집값이 오르면서 서민을 중심으로 도심에서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며 "전셋값도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예전보다는 오른 상태라 주거비 부담이 커진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이같은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임대주택 공급이 필요하지만 임대주택을 건립할 땅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