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건설업계에 'ESG'란?…'지배구조'는 숙제

  • 2021.03.03(수) 14:25

신재생에너지‧디지털 기술 개발 등 접근법 다양
지배구조, 타 항목 대비 평가 낮아…투명성 강화 필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척도로 떠오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바람이 건설업계에도 불고 있다. 전통적인 주택 건설과 토목 등에서 벗어난 신사업 개척과 건설사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개선 필요성이 커지면서다.

건설사들은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사업 분야로 발을 넓히고 사업 현장의 디지털화도 추진하고 있다. 현장 위험이 높은 건설업 특성 상 안전 강화에도 주력하는 상황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고 접근(?)이 어려운 지배구조와 관련해선 여전히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경영진을 견제하고 부당한 내부거래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기구 등의 활용을 통한 경영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 '친환경'으로 사업 다각화‧수익성 개선 주력

건설사 중 선제적으로 ESG 경영에 나서고 있는 SK건설은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하‧폐수 처리 등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인 EMC홀딩스를 인수했고, 미국 블룸에너지와 함께 합작법인을 세워 친환경 연료전지 생산을 시작했다. 또 해상풍력 사업 추진을 위해 협력사들과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이 같은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올 초 녹색채권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모집금액(1500억원)의 8배를 넘는 약 1조2100억원이 몰리기도 했다. SK건설 관계자는 "이번 회사채는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하는 것"이라며 "수요예측 흥행을 통해 친환경‧신에너지 사업이 금융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한화건설도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친환경사업을 본격화,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준공한 영암 풍력 발전단지(3.45메가와트급 22기)와 제주 수망 풍력 발전단지(3.6메가와트급 7기)를 준공한데 이어 올해는 88MW(메가와트) 규모 양앙 수리 풍력 발전단지 착공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국내 최대 규모인 신안 우이 해상풍력 사업 개발을 주관하는 등 육‧해상 풍력 발전사업 디벨로퍼 역할에 주력하고 있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 건설 경쟁력 강화에 나선 DL이앤씨도 대전 대덕에 안전체험학교를 개관하며 ESG 경영 첫 걸음으로 삼았다. 최근에는 수소에너지와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등 친환경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한 수익성 증대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도면 출력 없이 PC나 모바일 기기에서 설계도면과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3D 설계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해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건비 절감과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로 생산성을 개선하고, 출력용지 절감을 통한 친환경 경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포스코건설은 안전‧환경 등을 강화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기술 국내 중소기업들과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 "내부거래 감시·경영 투명성 강화 필요"

이처럼 건설사들은 기존 사업 분야에서 영역을 확대하거나 수익성 개선, 중소‧중견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식 등으로 ESG 경영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지배구조와 관련해선 갈 길이 멀다. 건설사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의 특성 상 미국‧유럽 등 선진국 기업보다 지배구조 투명성이 낮은 점을 개선해야 한다.

실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등급을 보면 상장 대형 건설사 중 GS건설과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정도만 지배구조 부분에서 A등급(총 7단계 중 3단계)을 받았다. 삼성물산과 DL이앤씨(옛 대림산업), HDC현대산업개발과 대우건설 등은 B+ 등급이다.

지배구조의 투명성은 주주 권리보호를 비롯해 이사회와 감사기구 등이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추고 경영진을 충분히 견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지배구조가 투명해야 새로운 기업 가치를 만들고 기업의 발전과 주가 상승 등을 이끌 수 있어서다.

특히 대형 건설사들의 경우 대기업 집단 내 건설 계열사인 만큼 내부거래 등을 통해 성장하거나 경영권 승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배구조의 투명성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평가 관계자는 "B+ 이상이면 이사회와 감사기구 등 지배구조 투명성을 위한 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춰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은 이들 기구가 충분히 경영진을 견제하지는 못하는 상황이고,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처럼 내부거래가 많은 기업들은 이를 감시하는 기구도 독립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건설사들의 경우 환경이나 노동 등의 이슈도 크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구 등도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