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인삼 떼어내라"…화들짝 놀란 KT&G

  • 2022.11.12(토) 10:05

[주간유통]KT&G, '행동주의' 펀드서 주주 제안
인삼공사 분리·HNB 투자 요구…주주 가치 제고
'칼 아이칸'때와 내용 대동소이…내부 고민 깊어

/그래픽=비즈니스워치

[주간유통]은 비즈니스워치 생활경제부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들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 [주간유통]을 보시면 한주간 국내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벌어진 핵심 내용들을 한눈에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편집자]

조용한 KT&G에 돌을 던지다

조용하던 KT&G가 갑자기 바빠졌습니다. 누군가 돌을 던졌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하나가 아닌 둘입니다. 싱가포르 사모펀드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FCP)와 국내 투자자문사인 안다자산운용입니다. 이 둘은 KT&G의 주주입니다. 지분율은 1%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불과 며칠 사이를 두고 KT&G에게 비슷한 제안을 했습니다. KGC인삼공사를 KT&G에서 분리하라는 겁니다.

이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KT&G의 주가가 저평가돼있는 만큼 획기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이를 위해 KT&G의 100% 자회사인 KGC인삼공사를 분할해 상장하고 KGC인삼공사를 젊은 이미지로 리브랜딩 해 에너지 드링크 사업에 진출해야 한다는 겁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드링크 산업이 커지고 있는 만큼 KGC인삼공사가 이에 나선다면 충분히 성공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입니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

더불어 KT&G는 KGC인삼공사를 떼어 낸 후 본업인 담배 사업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 주장의 핵심입니다. 현재 KT&G가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HNB·Heat Not Burn)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집중 투자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더불어 △지배구조 개선·투명성 확보 △주주환원 확대 등을 요구했습니다.

한마디로 KGC인삼공사를 분리해 육성하고 KT&G는 본업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자는 구상입니다. 이렇게 하면 KT&G와 KGC인삼공사는 물론, 주주들에게도 이득이 될 것이라는 것이 이들의 생각인 겁니다. 비록 이들의 지분율이 1%가 채 되지는 않지만 KT&G 입장에서는 분명 신경이 쓰이는 부분입니다. 게다가 공개서한을 보낸 만큼 시선이 쏠립니다. KT&G가 고민하는 이유입니다.

다시 떠오르는 '칼 아이칸'의 악몽

KT&G가 고작 지분율이 1%도 안되는 이들의 제안에 긴장하는 것은 예전의 사례가 있어서입니다. KT&G는 지난 2006년 '기업 사냥꾼'으로 불리는 칼 아이칸(Carl Celian Icahn)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칼 아이칸은  KT&G의 지분 5% 이상을 취득한 후 △한국인삼공사 상장 △유휴 부동산 처분 △주주환원책 강화 등을 요구했습니다.

더불어 투자자를 향해 주당 6만원의 공개매수를 제안하고 주식 매집에 나서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습니다. 당시 KT&G는 난리가 났었죠. 결국 KT&G는 '마스터플랜'을 제시했고 칼 아이칸 측이 이 마스터플랜에 최종 합의하면서 1년 2개월 만에 보유지분을 분산 매각했습니다. 이를 통해 칼 아이칸 측은 44%의 수익률을 올린 것은 물론 1500억원 가량의 차익을 챙긴 뒤 물러났습니다.

칼 아이칸 / 사진=칼 아이칸 페이스북 캡처.

KT&G가 긴장하는 것은 그때 칼 아이칸이 제안한 내용과 현재 FCP, 안다자산운용이 제안한 내용이 대동소이해서입니다. 어찌 보면 이들이 제안한 이 부분이 KT&G의 약점일 수도 있습니다. KT&G의 핵심 영역인 담배와 인삼이 서로 사업의 성격이 다른 만큼 시장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렵다는 점을 파고든 것으로 보입니다. 17년 전이나 지금이나 KT&G에게는 아픈 지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번 FCP와 안다자산운용의 제안이 칼 아이칸 때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보고 있습니다. 칼 아이칸은 KT&G의 경영권 인수를 걸고 시세차익을 노렸던 반면 이들은 칼 아이칸에 비해 지분율이 현저히 낮은 데다, KT&G의 경영진을 존중하는 '행동주의'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입니.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라"는 것이 이들의 목적입니다. 하지만 KT&G로서는 예전의 악몽이 떠올랐을 법 합니다.

KT&G의 깊어가는 고민

그렇다면 KT&G는 이들의 제안대로 인삼을 떼어낼까요. 올해 상반기 기준 KT&G의 전체 매출액에서 인삼 등 건강 기능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3.5%입니다. 담배가 62.7%로 가장 높습니다. 부동산이 8.9%, 제약·화장품 등 기타 부문이 4.9% 입니다. 인삼이 KT&G 전체 매출의 약 4분의 1을 차지합니다. 상당히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현재 KT&G는 매우 신중한 입장입니다. 내부적으로 이번 주주 제안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진한 KT&G 전략기획본부장은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세부 사안의 경우 시장에 다양한 시각과 입장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주 의견을 수렴하고 장기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검토하겠다"며 "심도 있는 결정을 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래픽=김용민 기자 kym5380@

사실 KT&G도 고민이 될 겁니다.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사실은 KT&G도 잘 알고 있습니다. 아픈 곳이기도 합니다. 그 부분을 콕 찔렀으니 뜨끔했을 겁니다. 그래서일까요? KT&G는 지난 4일 3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을 결의했습니다. 주당 배당금도 전년 대비 200원 이상 증액하는 것을 검토키로 했습니다. 이날 KT&G의 주가는 전일 대비 2300원 오른 9만6200원에 마감했습니다.

업계에서는 KT&G가 지난 3년간 주주 배당금을 늘려왔음에도 주가가 지지부진한 것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KT&G는 지난해 말 향후 3년간 약 1조7500억원 내외의 배당 실시와 1조원 내외의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의 주주 환원책을 내놨습니다. 2021년 회계연도 기준 KT&G의 배당성향은 58.9%입니다. 그럼에도 주가가 요지부동이라는 점은 무언가 확실한 모멘텀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의견입니다.

인삼 떼어 낼까

업계에서는 KT&G의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점에 다들 동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해결책으로 KGC인삼공사를 분리하는 것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요 유통 채널이었던 면세점이 막히고 수출 등의 실적이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제 엔데믹이 다가오면서 서서히 실적을 회복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실제로 KT&G와 KGC인삼공사의 지난 3분기 실적은 좋았습니다. KT&G의 경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KGC인삼공사도 지난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4290억원, 영업이익은 9.1% 늘어난 748억원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실적 전반에 조금씩 숨통이 트이기 시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엔데믹이 본격화할 경우 실적 개선의 여지가 더 많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입니다.

/그래픽=김용민 기자 kym5380@

반면 이번 주주 제안 내용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특히 KT&G가 주력하고 있는 글로벌 HNB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KT&G는 국내 HNB 시장 점유율 1위입니다. 이제 KT&G의 시선은 해외에 있습니다. 다만 해외 유통망은 필립모리스의 유통망을 활용합니다. 이를 투자를 통해 자체 유통망으로 전환할 경우 더 큰 이득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업계에서는 KT&G가 KGC인삼공사를 떼어내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더 많습니다. 아직까지는 득보다 실이 더 많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하지만 FCP나 안다자산운용의 제안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KT&G가 언젠가는 풀어야 할 숙제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공은 KT&G에게로 넘어갔습니다. KT&G도 고민이 클 겁니다. 당장은 아니겠지만 향후 KT&G가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합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