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2일 '한국 경제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전직 경제관료 초청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엔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서 정책 사령탑을 맡았던 정세균 전 국회의장,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등이 참석했다. 경제 위기 해법을 찾기 보수·진보를 아우르는 경제 원로들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이다.
최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국제무역질서와 게임의 룰이 바뀌며 한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무역전쟁·인플레이션·인공지능(AI) 경쟁·정치적 불확실성 등 '4개의 폭풍'이 몰려온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경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의사 결정들이 모여 격변기를 헤쳐 나가야 한다"며 "나라의 어른인 원로분들의 경험과 식견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고 중요하다는 생각에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경제 원로들은 정치적 불안 요인이 빠르게 해소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정세균 전 국회의장은 "대한민국 경쟁력은 민·관·정의 협력으로 완성된다"며 "민간은 혁신·투자, 정부는 컨트롤타워, 국회는 법·제도 정비를 서두르는 노력을 통해 위기 극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증현 전 장관은 "경제는 절대 정치와 떨어져서 발전할 수 없다"며 "방위비 인상 압박, 북한 재협상, 중국 관계 등 한국이 답해야 할 시간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만큼 정국이 빠르게 안정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유일호 전 부총리는 "내우외환 상황 속 정치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금리와 환율 등 거시경제를 살펴야한다"며 "경제 운용에 흔들림이 없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내보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헌재 전 부총리는 "전 세계 모든 생산의 최종 집결지가 미국 시장"이라며 "단순 협력 관계를 넘어 경우에 따라선 미국과 파트너십·합작 등 적극적인 방안을 민간 주도로 모색할 때가 왔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전 부총리는 "더 어려운 문제는 중국과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라며 "대부분 분야에서 중국과 굉장히 치열한 경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선택적·전략적·경쟁적 협력관계를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