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 요금할인'(선택약정)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이면서 이동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사·유통점이 휴대전화기를 팔 때 공시 지원금(보조금)과 함께 20% 요금할인의 혜택도 공시·게시토록 했기 때문이다.
방통위는 지난 11일 이런 내용의 '지원금 공시 및 게시 방법 등에 관한 세부기준' 고시 일부 개정안을 마련하고 9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선택약정은 2014년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에 따라 도입된 것으로 공시 지원금에 상응하는 통신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는 제도다.
이번 개정안의 시행으로 선택약정 가입자가 기존보다 늘어나면 이통사들은 ARPU의 추가하락 압력을 받을 전망이다.
선택약정 가입자는 2분기 현재 8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이통사 ARPU 하락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공시 지원금은 이통사와 제조사가 함께 부담하지만, 선택약정 할인은 이통사 홀로 부담하기 때문이다.
지난 2분기 이통3사의 실적 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선 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SK텔레콤의 선택약정 가입자는 전체의 14%에 달하며, KT는 11%, LG유플러스는 12% 수준이지만,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SK텔레콤은 올 2분기 가입자 중 선택약정 가입자 비중이 35%였다. 이는 지난해 2분기의 10%보다 크게 증가한 것이다. KT도 같은 기간 32%, LG유플러스도 32%가 선택약정으로 가입했다.
특히 올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가 잇따를 전망이어서 이통사는 이에 따른 손익 계산에 더욱 분주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갤럭시노트7에 이어 LG전자 V20, 애플 아이폰7과 같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줄줄이 출시를 앞두고 있어 선택약정 가입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설명이다.
다만, 선택약정 가입자 수 증가가 이통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과도하진 않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는 이통사가 공시 지원금에 쓰는 마케팅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선택약정은 지원금이 적은 고가 스마트폰과 비싼 요금제에 유리하게 구성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황근주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분기 컨콜에서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는 고가 단말기, 고가 요금제 가입과 연결되기 때문에 단순히 부정적 영향만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선택약정 규모가 지금보다 올라가는 것은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는 ARPU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도 "지금은 선택약정 가입자가 '제로베이스'에서 급증했던 과거와는 다른 상황이므로 과도한 우려를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