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하나·KB금융그룹 회장들이 이번 달부터 연봉의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연봉 삭감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동참하겠다는 이유에서다. 금융권에서는 금융계 수장들의 자진 연봉 삭감으로, 해당 그룹 계열사 임원들뿐 아니라 다른 금융사에도 여파가 미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 2~3년간 연봉 30%, 채용 확대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3일 "최고 경영자로서 책임을 다하는 솔선수범의 자세로 이달부터 연봉의 30%를 반납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공동 발표문을 내놨다. 전날 조찬 모임에서 만나 이런 결정을 내렸다.
회장단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동참하고, 저금리·저성장 기조 속에서 어려워지는 금융환경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경제 상황에 따라 2~3년간 연봉을 반납할 계획이다. 각 그룹 계열사 사장단 등 경영진 연봉에 대해서는 이달 내에 논의해 결정한다. 이를 통한 재원을 계열사 인턴과 신입사원, 경력사원 등 채용 확대에 사용할 방침이다.
◇ 다른 금융사도 동참 움직임
금융그룹 3사가 먼저 움직이면서 다른 금융 그룹사들도 분주한 모습이다. 농협금융그룹과 우리은행 등 대형 금융사 최고경영자들도 이번 연봉 삭감과 같은 행보에 동참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다. 최근 정부와 여당이 강조하고 있는 노동 개혁과 임금피크제 도입 등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를 봤을 때, 다른 금융사들도 무작정 외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와 함께 최근 저금리와 저성장 기조 속에 금융사들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어, 금융권의 고액 급여 체계에도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다. 금융권의 경직된 임금 체계를 고쳐야 한다는 지적은 오래 전부터 나오던 얘기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경직적 임금체계가 지속할 경우 향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며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를 연봉제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비용을 통제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