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로보어드바이저 활성화…아직 '반쪽짜리'

  • 2016.01.18(월) 10:00

장기 미사용 계좌 조회·해지·잔액이체 가능
금융위, 대통령 2차 업무보고 "금융개혁 지속"

금융위원회가 투자자문을 전문으로 하는 '온라인 자문사'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그동안 오프라인 지점이 없는 '온라인 자문회사' 설립을 사실상 제한했는데, 앞으로 '컴퓨터 프로그램'만으로 자문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er)가 출범할 수 있게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그러나 외국에서 활성화한 '로보어드바이저' 전문 업체가 나오려면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금융위원회는 18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6년 2차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이날 대통령 업무보고는 금융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6개 부처가 합동으로 진행했다.

◇ 온라인 자문사 설립 허용

금융위는 '국민재산 늘리기 프로젝트'의 하나로 자산관리 활성화 정책을 내놨다. 최근 세계적으로 부각하고 있는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및 활성화가 골자다.

로보어드바이저란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을 둔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동으로 포트폴리오 자문·운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상의 자산관리서비스를 말한다. 투자자가 PC나 모바일을 통해 로보어드바이저 프로그램에 투자성향과 규모, 목표 등을 입력하면 맞춤형 포트폴리오와 금융상품을 추천해주는 식이다.

 


현행 법규에선 투자자문업을 하려면 3명 이상의 상근 임직원이 있어야 하는데, 앞으로는 컴퓨터프로그램만으로도 '온라인 자문사' 설립이 가능해진다. 다만 단순화하고 표준화한 프로그램 난립을 막기 위해 등록 단계에서 금융당국이 전산 설비 적정성 등을 점검한다.

이와 함께 투자자문과 상품판매를 결합한 원스톱(one-stop) 자산관리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은행, 증권사 등 판매채널을 통해 온라인 자문사나 독립투자자문사(IFA)를 소개받아 포트폴리오나 상품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 투자자문 원스톱 서비스


김용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로보어드바이저를 도입하고 활성화하겠다"며 "쉽게 말해 김기사나 배달의 민족 같은 애플리케이션(앱)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업체 출현은 아직…

그러나 이번 방안에선 우리나라에서 진정한 의미의 '로보어드바이저' 앱이 탄생하기 위한 '비대면 일임계약' 허용은 제외했다. 로보어드바이저 기능을 갖춘 '온라인 자문사'와 온라인으로 계약을 맺고 투자 조언을 받을 수 있지만, 외국에서처럼 직접 상품을 구매하고 컴퓨터가 매수나 매도를 하도록 계약하는 것은 못한다는 의미다.

금융위는 자칫 일부 업체가 형식적으로 투자자 성향을 파악해 투자자에게 피해를 주는 등의 부작용을 우려해 '비대면 투자 일임계약' 허용은 아직 무리라는 견해다.

결국, 투자자 입장에선 온라인 로보어드바이저 업체를 통해 투자자문만 받고, 이를 직접 운용하거나 증권사나 은행 지점에서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는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증권사나 은행에서 로보어드바이저 업체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금융위가 내놓은 원스톱 서비스의 경우 이미 일부 업체에선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로보어드바이저 벤처기업인 쿼터백랩이 증권사나 KB국민은행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일부 증권사도 투자자문사와 핀테크 업체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런 서비스를 내놓는다.

◇ 휴면 계좌, 은행 방문 없이 해지·잔액이체

금융위는 이밖에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계좌를 조회해 이를 해지하고 잔액을 이전하는 서비스를 오는 9월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자동이체 등을 조회·해지·변경하는 계좌이동제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다. 지난해 3월 말 현재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장기 미사용 계좌'에는 모두 5조 5000억 원가량이 잠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도 내놨다. 정보의 주체를 확인할 수 없는 이른바 '비식별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금융회사들은 비식별정보 사용 적정성 등이 명확하지 않아 빅데이터 활용을 주저했다.

 

올해 안에 스마트카와 수술로봇, 전기자동차, 탄소섬유 등 '창조경제' 분야에 72조 4000억 원을 공급하고, 소프트웨어, 게임, 광고, 영화, 관광 등 '문화융성' 분야에 7조 2000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