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1월 가계대출도 급증…집단대출 부담 Up

  • 2016.02.15(월) 12:00

집단대출 후유증으로 1월 가계대출 사상 최대
중국 증시 급락 등으로 MMF도 7년 만에 최대

올해 1월 가계대출이 1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폭으로 늘었다. 주택 경기는 주춤하고 있지만, 지난해 아파트 분양 호조에 따라 집단대출이 꾸준히 늘면서 가계부채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

연초 중국의 증시 급락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단기성 대기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 자금은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급증했다.

◇ 1월 가계대출 사상 최대 폭 급증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6년 1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 2000억 원 증가했다. 작년 12월 6조 9000억 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많이 줄어든 것처럼 보인다.

반면 비수기인 1월 기준으로 따지면 2008년 통계 편제 이후 사상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1월 가계대출은 평균 8000억 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이 2조 8000억 원 늘면서 증가세를 주도했다.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은 기업의 상여금 지급 효과 등으로 6000억 원 줄었다. 지난 1월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641조 3000억 원,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479조 9000억 원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주택 거래 둔화 등으로 전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줄었지만, 지난해 아파트 분양 호조에 따른 영향으로 집단대출은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집단대출 부작용 본격화하나


문제는 집단대출의 부작용이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집단대출이 가계부채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지난해 아파트 분양 호조와 함께 집단대출이 급증한 탓에 앞으로 2년간 매월 3조~4조 원씩 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부동산 경기가 꺾이면 빠르게 부실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집단대출은 한번 승인되면 분양계약 이후 입주 시까지 약 2년간 이주비와 중도금, 잔금 대출이 차례차례 대규모로 발생해 부동산 경기와 상관없이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특히 집값이 내려가면 분양 관련 분쟁이 늘면서 곧바로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최근 부동산 경기도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작년 11월 1만 호에서 12월엔 8000호로 줄더니 올해 1월엔 6000호로 줄었다. 청약 미달 단지도 많이 늘고 있다. 건설사들이 4월 총선 전 분양 물량을 최대한 쏟아낼 계획이어서 미분양 우려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MMF 급증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단기자금도 많이 늘었다. 지난달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23조 5000억 원 급증했다.

특히 MMF가 16조 8000억 원이나 늘면서 2009년 1월 이후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연말 재무비율 관리 등으로 일시 인출된 법인자금이 재차 유입된 영향도 있지만, 연초 중국 증시 급락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대기성 자금도 대거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달 기업대출은 6조 9000억 원 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대기업 대출은 연말 부채비율 관리 목적으로, 중소기업 대출은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각각 3조 원과 4조 원 늘었다. 1월 말 현재 기업대출 잔액은 731조 원을 기록했다.

1월 중 은행의 수신은 2조 9000억 원 줄었다.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에 따른 기업들이 자금을 인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은행권의 예대율 관리를 위한 유치 노력 등으로 정기예금은 3조 6000억 원 늘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