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011년 이후 7년 연속 세계 평균을 밑돌 전망이다.
세계은행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7%로 내렸다. 정부가 제시한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인 2.6%보다는 더 높은 수준이다.
세계 경제는 선진국과 신흥국의 희비가 갈렸다. 세계은행은 미국과 중국, 일본의 경우 기존 전망치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높게 잡았지만, 신흥국은 오히려 더 낮췄다.
세계은행은 11일 내놓은 세계 경제전망에서 올해 시장환율 기준 경제성장률은 2.8%에서 2.7%로 낮췄고,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도 3.6%에서 3.5%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세계 경제성장률 2.3%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미국 대선과 영국 브렉시트 결과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확대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주요국의 경기 둔화 등을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소로 꼽았다. 이 영향으로 무역이 둔화하고 투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은 기존 1.9%에서 1.8%로 낮게 잡았다. 미국은 내년까지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이 정해지지 않았고 잠재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성장률 전망을 2.2%로 유지했다.
일본의 경우 소비세 인상 연기와 공공부문 재정지출에 힘입어 0.9%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6월에 전망한 성장률은 0.5%보다 상향 조정된 수치다. 유로 지역 국가들은 브렉시트 불확실성과 은행 부실채권 증가 등에 따른 우려를 반영해 1.6%에서 1.5%로 낮췄다.
신흥국의 성장률 전망도 4.4%에서 4.2%로 낮췄다. 선진국의 성장 둔화와 원자재 가격 약세에 대한 대응 부족 등으로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봤다. 중국의 경우 소비 증가세가 좋지만 민간투자 둔화 등으로 전망치를 6.5%로 유지했다.
세계은행은 선진국의 경우 경기 부양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과 구조 개혁 등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신흥국은 선진국의 통화·무역정책의 변화에 따른 실물·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여력 확보와 생산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계은행은 11일 내놓은 세계 경제전망에서 올해 시장환율 기준 경제성장률은 2.8%에서 2.7%로 낮췄고,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도 3.6%에서 3.5%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세계 경제성장률 2.3%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미국 대선과 영국 브렉시트 결과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확대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주요국의 경기 둔화 등을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소로 꼽았다. 이 영향으로 무역이 둔화하고 투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은 기존 1.9%에서 1.8%로 낮게 잡았다. 미국은 내년까지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이 정해지지 않았고 잠재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성장률 전망을 2.2%로 유지했다.
일본의 경우 소비세 인상 연기와 공공부문 재정지출에 힘입어 0.9%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6월에 전망한 성장률은 0.5%보다 상향 조정된 수치다. 유로 지역 국가들은 브렉시트 불확실성과 은행 부실채권 증가 등에 따른 우려를 반영해 1.6%에서 1.5%로 낮췄다.
신흥국의 성장률 전망도 4.4%에서 4.2%로 낮췄다. 선진국의 성장 둔화와 원자재 가격 약세에 대한 대응 부족 등으로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봤다. 중국의 경우 소비 증가세가 좋지만 민간투자 둔화 등으로 전망치를 6.5%로 유지했다.
세계은행은 선진국의 경우 경기 부양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과 구조 개혁 등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신흥국은 선진국의 통화·무역정책의 변화에 따른 실물·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여력 확보와 생산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자료=기획재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