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금융시장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은행들의 대출 총량이 초기화(리셋)된 가운데,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질 경우 요지부동인 대출금리에 하방 압력이 가중될 수 있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서 금리인하 속도조절 발언이 나올 때마다 인플레이션이 지목되는 만큼,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6일 금통위에서 한은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란 의견과 유지할 것이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4년5개월 만에 금리인하를 단행한 뒤 같은해 11월에도 깜짝 인하를 단행했다. 현재 기준금리는 3.0%까지 내려왔다.▷관련기사 : 한은 기준금리 3.0%로 '깜짝 인하'…경기부터 살리자(2024년 11월28일)
기준금리 동결? 인하?
금리동결을 점치는 쪽은 환율 고공행진을 거론한다. 원·달러 환율이 1460~1470원대를 오가는 상황에서 추가 금리인하가 이뤄지면 원화가치를 끌어내리는 압력이 보다 강해진다. 1500원선까지 위협받고 있어 긴장감이 그 어느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금리인하 때도 2명의 금통위원이 환율 우려로 금리동결을 주장한 바 있다.
3연속 금리인하를 전망하는 쪽은 국내 경기 상황에 무게를 둔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1.8%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잠재성장률 2%에도 미치지 못한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인상 등에 따른 수출 둔화, 내수 부진에 더해 최근 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다.
기재부는 현재 정치적 리스크가 더 악화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 같은 전망치를 내놨다.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면 경제 성장률이 1%대 초반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내 대출금리 어쩌나…
3연속 금리인하가 단행되면 시중은행 대출금리에도 하방 압력이 가해질지 주목된다. 앞선 두 차례 금리인하 이후에도 뚜렷한 하락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 9일 기준 4대 은행의 고정형(5년)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는 3.461~5.30%로 한 달 전격인 지난해 12월12일(3.427~5.32%)과 비슷한 수준이다.
은행들의 경우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수신금리를 선제적으로 낮추고, 이로 인해 조달비용 부담이 줄면 대출금리도 인하한다. 그럼에도 은행권은 금융당국 눈총 속 가계대출 속도조절에 방점을 둘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계대출 총량 한도가 새해 들어 풀리면서 수요 흡수 여유가 생긴 데다, 예대차금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신규 대출금리를 내리는 속도가 조금 더뎠다"며 "두 번째 금리인하 이후에는 감독당국도 협조를 구하고 있어 속도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관련기사 : 새해 대출 총량 리셋에도 '○○' 때문에 돈 빌리기 힘들다(1월8일)
미국은 인플레 부담
오는 15일(한국 시각) 발표되는 미국 12월 CPI도 확인해야 한다. CPI의 경우 지난해 9월 2.4%로 저점을 찍은 뒤 두 달 연속 올랐고, 다음 주 발표될 12월 CPI도 2.8%로 소폭 상승할 전망이다. 중앙은행 주된 목표가 물가안정이 만큼,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리를 쉽게 내리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이달 말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고강도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진 상황임을 고려할 때 금융시장에서 미국 물가에 대한 민감도가 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