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그룹중 18개가 올해 안전·환경 투자를 늘릴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이다.
다만 비용 증가로 인한 경영상 부담 등은 어려움으로 지목됐다. 관련 규제 도입이전 업계의 충분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전국경제연합회는 21일 자산 상위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2014년 안전·환경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18개 그룹(62.1%)이 올해 안전 및 환경 투자 규모를 지난해보다 늘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0개 그룹(34.5%)은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1개 그룹(3.4%)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답했다.

안전·환경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18개 그룹은 `최근 안전·환경 문제의 관심 증가에 따른 선제적 대응(14개 그룹, 77.8%)`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연초 사업계획 및 경영전략에 따른 투자확대(3개 그룹, 16.7%)`, `시설 노후화 및 교체시기 도래(1개 그룹, 5.5%)` 순으로 제시했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안전 및 환경 이슈 관련 가장 큰 어려움은 `관련 비용 증가에 따른 경영부담 증가(13개 그룹, 44.9%)`인 것으로 조사됐다. ▲1,2차 협력사 관리 및 교육의 어려움(7개 그룹, 24.1%), ▲기관별 중복적 과잉 점검 및 현장 조사(4개 그룹, 13.8%), ▲관련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4개 그룹, 1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들은 안전 및 환경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할 정책과제로 `안전 및 환경규제 도입 전 충분한 산업계 의견 수렴(18개 그룹, 62.1%)`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다음으로 ▲관련기술 개발 및 세제 지원(7개 그룹, 24.1%), ▲전문인력 양성(2개 그룹, 6.9%), ▲중소기업의 안전·환경 관 교육·설비 지원(2개 그룹, 6.9%) 순으로 응답했다.
올해 그룹들의 안전 및 환경 분야 예상 투자금액은 ▲1조원 이상 2곳, ▲5000억이상 1조원미만 3곳, ▲1000억이상 5000억미만 6곳, ▲1000억원 미만 18곳으로 각각 조사됐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정부가 안전·환경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등을 늘리고, 규제 도입 전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면 기업의 경영부담이 덜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