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6일(미국 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열리는 '2015 국제 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첨단 차량IT 분야 신기술들을 공개하며 ‘인간을 위한 기술(Technology with Human Touch)’을 미래자동차 콘셉트로 제시했다.
현대차의 미래자동차 기술은 ▲연결성(Connectivity) ▲안전성(Safety) ▲친환경등 3가지를 테마로 한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는 3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총 17종의 신기술들을 전시한다.
◇ 연결성
현대차의 스마트카 기술 테마인 '연결성(Connectivity)'은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워치를 연결한 차세대 블루링크(Blue Link), 애플社와 구글社의 스마트폰 서비스를 연동시킨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핵심이다.
‘스마트 워치’ 블루링크 시스템은 스마트 워치에 자동차 시동 걸기, 문 여닫기, 주차장에서 차량 찾기 기능을 탑재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에 앱을 깔고 사용자 등록한 후 스마트워치에 블루링크 앱을 적용해 터치하거나 고객의 목소리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 스마트 워치를 연결한 차세대 블루링크 |
또 스마트 워치를 통해 운전자의 건강 상태, 행동 패턴을 기록해 정보를 제공해주는 차량용 라이프로그(Lifelog)와 별도의 접촉 없이 운전자의 손동작을 인식해 운전 중 시선 분산 없이 내비게이션 등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 기술도 선보인다.
스마트폰과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간의 연동 서비스인 ‘애플(Apple)社의 카플레이(CarPlay)’와 ‘구글(Google)社의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가 기존 AVN 표준 시스템도 적용된다.

▲ 애플社와 구글社의 스마트폰 서비스를 연동시킨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시연하는 모습 |
7인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오디오’에는 블루링크 서비스가 탑재대있다. 스마트폰의 카플레이(애플)나 안드로이드 오토(구글)를 연결하면 내비게이션, 음악 듣기, 전화 걸기, 메시지 보내기 등 각종 스마트폰 기능이 가능하다.
◇ 안전성
안전성은 첨단 주행보조시스템인 스마트 ADAS와 증강현실 HUD가 핵심이다.
첨단 운전자 주행보조시스템(스마트 ADAS)은 스마트 키를 통해 전자동 주차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격 전자동 주차 시스템 과 함께 교차로 진입시 현재 신호등 상태 및 잔여 시간 정보를 제공해주는 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됐다.

▲ 주행시 전면 윈드실드 글라스에 주행 및 안전 정보를 표시해주는 증강현실 HUD 구현한 제네시스 쇼카 |
또 잠재적 보행자 충돌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는 보행자 경보 시스템과 교차로 진입시 교차로 주변 차량과의 잠재적 충돌에 대해 경보를 제공하는 교차로 지원 시스템도 여기에 속한다. 공사 및 가변속도 정보를 제공해주는 도로 정보 제공 시스템도 선보인다.
이밖에도 고속도로 주행시 구간 차선, 차간 거리를 유지해 안전하게 자동 운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 운전자 비상상황 발생시 차량을 갓길에 안전하게 정차하는 응급상황 비상정지 시스템 등도 있다.

▲ 라이프로그 기술, 3차원 모션 인식, 뒷좌석 스마트 테블릿 거치대 기능 체험할 수 있는 미래형 인포테인먼트 전시물에서 시연하는 모습 |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시 필요한 주행 및 안전 관련 정보를 윈드실드 글라스를 통해 보여준다. 직관적인 3차원 이미지 형태로 전방 도로에 인쇄된 듯 덧붙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운전자는 전방에서 시선을 떼지 않고 차량 속도, 내비게이션의 기본 주행 정보, 시스템 작동 상태, 차량 위험상태 경고 등을 보다 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친환경
현대차는 이번 CES에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는 수소연료전지차를 선보인다. 현대차의 투싼 수소연료전지차는 현대차가 향후 선보일 친환경차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현대차는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 투싼 수소연료전지차에는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한 100kW급 연료전지와 구동모터가 탑재돼있다. 특히 파워트레인은 최근 미국에서 '2015 10대 최고 엔진'에 선정됐다.

▲ 투싼 수소연료전지차. |
투싼 수소연료전지차는 이들 파워트레인 부품 외에도 24kW의 고전압 배터리, 700기압(bar)의 수소저장 탱크 등을 탑재했다. 최고속도는 160km/h, 정지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시간은 12.5초로 내연기관 자동차에 견줄만한 동력성능 갖췄다.
아울러 물 외에는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고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1회 충전 주행거리도 서울에서 부산까지 한번에 운행 가능한 415km를 달성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앞으로도 고도의 IT와 자동차와의 융합 기술을 확보하는데 적극 나섬으로써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보다 똑똑한 차량이 실제 도로에서 달리는 날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